도농이원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중국의 후커우제도 속 농민공의 현실과 애환을 다루는 농민공 소설은 그들이 체험해야 했던 현대화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순과 충돌을 구현하고 있다. 중국 개혁개방과 현대화의 산물이자 증인인 농민공 집단의 체험과 정서는 중국 사회발전의 전환점을 관조하면서 신속한 발전이 만들어낸 구체적 영향을 조망하는데 유효하다. 이런 의미에서 쟈핑와(賈平凹)의 《즐거운 인생(高興)》(2007)은 1인칭 주인공 시점을 사용하여 농민공 가오싱(高興)의 체험을 이야기한다는 점에서 소설과 현실의 보다 가까운 접합 지점을 구축한다. 작품은 도시생활의 절망감과 적응 가능성을 포착하는 한편, 시안(西安)이라는 공간이 가오싱에게 장소가 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묻는다. 장소가 인간이 세계에 존재하는 데 근본적인 속성이고 또 개인이나 집단에게 있어 안정과 정체성의 원천이라고 할 때, 개인에게 지속적이고 의미 있는 장소의 경험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소수자로서의 가오싱은 익숙했던 자신의 장소를 상실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장소를 구축하지도 못하는 이중고에 놓여있다. 반복되는 차별과 배제의 사건은 도시와 가오싱이 서로에게 낯선 존재임을 보여준다. 서로에 대한 온도차를 드러내며 도시 시안은 가오싱에게 장소에서 공간으로 퇴행된다. 기대와 바람이 어긋나고 파열음을 내지만 가오싱은 여전히 시안에서 살아가고 죽어서도 시안의 귀신이 되겠다는 마음을 다잡는다. 도시 삶의 의지가 강렬해질수록 그의 장소감은 더욱 무력화된다.
The migrant worker novel, which deals with the realities and affections of the Chinese peasant masses in the Hukou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provincial and farming circle system, embodies th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ey had to experience. The experiences and sentiments of the peasant public groups, both products and witnesses of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and modernization, are valid for observing the specific impact that rapid development has produced while controlling the turning point of China’s social development. In this sense, JiaPingwa’s“Happiness”(2007) establishes a closer junction between fiction and reality in that it uses the first person’s point of view to talk about the experiences of Gao Xing, migrant worker. While the work captures the despair and adaptability of urban life, it asks Gao Xing whether the space called Xian can be a place. When a place is said to be a fundamental attribute of human existence in the world and a source of stability and identity for an individual or group, the experience of a place that is continuous and meaningful to an individual is paramount. Gao Xing as a minority not only loses his familiar place, but also lies in the double whammy of not being able to build a new place. Events of repeated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show that cities and Gao Xing are unfamiliar to each other. Revealing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for each other, city Xian is regressed from place to space by Gao Xing. Despite his expectations, Gao Xing still decides to become Xi an’s ghost even after living and dying in Xi an. The stronger the will to live in the city, the more incapacitated Gao Xing’s sense of place is.
국문제요
1. 들어가는 글
2. 도시에 대한 두 농민공의 심상지리
3. 이중 신분의 농민공, 이중 잣대의 도시
4. 장소상실과 무력화되는 장소감
5. 나오는 글
參考文獻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