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986.jpg
KCI등재 학술저널

《차마고도·더라무》의 지식 생산과 전파

Knowledge Production and Propagation of Tea-Horse Road Series·Delamu: From the Point of View of Visual Anthropology

  • 64

차마고도는 실크로드보다 오래된 교역로이다. 당나라 때 교역이 활발하게 진행된 이 길은 윈난(雲南), 쓰촨(四川)의 차와 티베트의 말이 교환되었다고 해서 차마고도(茶馬古道)라 불리게 되었다. 중국 서남부에서 티베트, 인도에 이르는 고대의 상업도로였으며, 중국 서남부의 헝돤산맥(横断山脉) 지역과 시짱고원(西藏高原) 사이에 위치하며 서남지구 각 민족 간 경제 및 문화를 교류의 중심축이었다. 2004년, 중국의 영화감독 티엔좡좡(田壯壯)은 이 차마고도를 영화의 중심에 놓고 만든 영화, 《차마고도·더라무》(茶馬古道·德拉姆)로 제1회 중국영화감독협회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 현장의 생생함을 그대로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차마고도·더라무》는 운남성 서부쪽의 빙중루오(丙中洛)에서 티베트의 차와롱(茶瓦龍)의 누(怒)강 유역에 이르는 곳에서 마바리 떼[馬幇]와 지역주민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다큐멘터리는 특정 민족(들)에 대한 현장의 기록으로서 지리학이나 민속학 또는 인류학적 가치를 지니고 세밀한 현실을 조명해주고 있으며, 이것은 민족지성(Ethnographicness)을 지닌 영화의 지식 생산의 측면이자 영화가 갖는 지식 전파의 높은 효율성을 말해주는 것이다. 진정한 민족지성을 지닌 영화 제작을 위해선, 영화 제작진과 대상 인물들 간의 평등하고 친근한 교류를 바탕으로 상호 협조하여 제작에 참여하여 영화를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촬영 카메라의 소형화 및 충전기의 발달로 원거리 및 오지에서의 인류학과 민속학 연구에서도 그 활용가치는 점점 확대되고 있다. 이 다큐멘터리 《차마고도·더라무》가 증명해주듯 민족지성을 지닌 영화가 지식의 생산과 전파의 도구로서 더욱 적극적으로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된다면 민속학 및 인류학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Tea-Horse Road Series(茶馬古道) is an older trade route than the Silk Road. During the Tang Dynasty, this road was called Tea-Horse Road Series, because of the exchange of Tibetan words with the tea of Yunnan and Sichuan. An ancient commercial road from southwest China to Tibet and India. Located between the Hengmiao Mountains region in southwestern China and the Xichang Plateau, it was the center of exchanges between the peoples of the southwestern region. In 2004, Chinese filmmaker TianZhuangzhuang(田壯壯) the first best director award for “Goddess of Peace” as a Tibetan language for a film made with the Tea-Horse Road Series· Delamu, at the center of the film. The documentary film Tea-Horse Road Series·Delamu, which depicts the vividness of the scene, tells the story of the life of the horsemen and local residents in places ranging from Bingzhongluo(丙中洛) in western Yunnan Province to the 怒 River basin in ChaWalong(茶瓦龍) in Tibet. I want to define this documentary film as a national film. The film is a field record of folklore, shedding light on the diverse, dynamic and detailed realities of geography, folklore or anthropology. This is a aspect of the knowledge production of folklore films and a high efficiency as a knowledge propagation wave of the media the film has. It is a fact that conditions are also created for field research of distant and remote areas due to the development of small camera and charger. Therefore, as the example of the above works proves, folklore films are proposed to be used more actively in the future as tools for anthropological research and the production of knowledge (exploration) and dissemination.

국문제요

1. 차마고도와 영화의 민족지성(Ethnographicness)

2. 《차마고도·더라무》의 제작 특징

3. 《차마고도·더라무》의 민족지성 영화로서의 지식 요소

4. 상호 존중의 민족지성 영화를 위하여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