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한국 기록관의 지진 대비 계획 수립을 위해서 기록관 지진 대비의 기본적인 사항과 지진 피해와 복구에 대한 실제 국외 사례 검토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로, 첫째, 기록관의 지진 대비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지진의 기본적인 특성과 지진으로 발생할 수 있는 피해 상황을 정리하였고, 지진 대비 계획 수립의 방향 설정을 위해 재난 대비계획을 검토한 후, 계획 수립의 핵심 요소인 ‘재난 대비 위원회와 업무 분담’, ‘위험 평가 및 관리’, ‘즉각적 대응을 위한 핸드북 작성’, ‘복구 계획’, ‘훈련’, ‘협력 활동’을 지진 대비에 적용해보았다. 둘째, 지진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 기록관의 지진 대비 계획 수립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4가지 국외 사례를 검토하였다. 4가지 사례는 일본의 도서관 책 낙하 사례, 독일의 기록관 붕괴 사례, 뉴질랜드의 기록관 지진 피해 사례, 문화유산 분야의 지진 대비와 복구 사례로 각 사례의 핵심 내용을 검토하고 교훈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셋째, 국외 사례의 교훈을 국내에 적용하기 위하여 사례에서 도출한 교훈, 지진 대비 계획 수립의 핵심 요소, 국내 기록 공공표준을 상호 연계하여 살펴보고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 검토한 사항들이 향후 국내 기록관이 실제 적용 가능한 계획을 수립하는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reviews the basics of earthquake preparedness from several archives and international cases of earthquake damage and restoration to establish an earthquake preparedness plan in Korean arch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an earthquake preparedness plan, the study summarizes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an earthquake and its damages, as well as applies the key elements of disaster preparedness planning after reviewing its basic principles. Second, the study analyzes four international cases that may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earthquake preparedness plan in Korea. Given this, four international cases present lessons and limitations such as the book dropping of a library in Japan, the collapse of archives in Germany, damaged archives because of a massive earthquake in New Zealand, and earthquake preparedness and recovery plans in cultural heritage sectors. Third, to apply the information from overseas cases to domestic, the study examines the lessons, the key elements of earthquake preparedness planning, and the public record standard for Korean archives through the mutual linking process, as well as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The issues reviewed in this study could help Korean archives establish a realizable earthquake preparedness plan in the future.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기록관의 지진 대비
3. 국외의 지진 피해 및 복구 사례
4. 국외 사례 교훈의 국내 기록관 적용을 위한 제언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3)
-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국가기록관리 현실과 전망
- 중앙행정기관의 클라우드 시스템 도입 현황
- 무형문화유산 기록정보자원 디지털화를 위한 평가요소 개발 및 적용
- 경남의 모든 기록은 경상남도기록원으로 통한다
-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디지털 사진기록물 관리를 위한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의 도입에 관한 연구
- 클라우드 저장소 장점을 활용한 기록 콘텐츠 관리기능 설계
- 국회기록물 관리 체제 개선 방안 연구
- 블록체인기술을 적용한 기록관리 모델 구축 방법 연구
- 참여형축제사진아카이브 구축방안 연구
- 북한인권기록물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안) 연구
- 한국 기록관의 지진 대비를 위한 국외 사례 검토
- 광역지방자치단체 소방기록물 관리 현황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