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033.jpg
학술저널

3.1운동, 어떻게 볼 것인가

How to view the March First Movement?: An Evaluation of legacy of the March First Movement

  • 312

‘3.1운동’이란 일제의 식민 지배와 그 억압 정책에 대한 거부운동으로서 1919년 3월 1일 서울의 파고다공원과 태화관 그리고 전국의 9개 지역에서 ‘독립선언서’를 선포함으로 시작되어 적극적으로 약 3개월, 광의 적으로는 1년여 간에 걸쳐 국내 ‧ 외로 확대된 항일독립운동을 의미하는 데, 이 운동은 일제의 조선 강점 9년 후에 일어난 사건으로서 민족독립에 대한 의지와 열망을 보여주었고, 그리고 일제의 가혹한 식민 통치의 실상을 폭로하고, 독립 투쟁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사건으로 평가되고 있다. 만세운동 참여와 피해 상황에 대한 각종 통계가 보여주는 바처럼 3.1운동은 신분, 직업, 계급, 지역 그리고 종교를 초월하여 거족적으로 일어난 독립운동으로서 한국독립운동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인정되고 있다. 최근 3.1운동에 대한 다양한 논저들이 출판되었고 3.1운동에 기원과 배경, 전개 과정, 혹은 만세운동이 끼친 영향 등과 관련하여 상반된 견해가 대두되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이런 상이한 해석에 대해 점평(點評)하 고, 3.1운동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주목하였다. 우선이 논문에서 시위 참여 및 피해상황에 대한 통계적 차이를 제시하고 이점에 대한 보다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3.1운동’ 에 대한 사이한 해석에 대해 점평하였다. 곧 ‘3.1운동’인가 ‘3.1혁명’인가에 대한 논쟁을 정리하였고, 3.1운동 발발의 배경과 관련하여 제기된 외인론(外因論)과 내인론(內因論)을 검토하고,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를 조선독립 쟁취의 기회로 삼았다는 기회론(機會論)의 입장을 소개하였 다. 또 3.1운동의 주체는 민족대표 33인인가 운동에 참여했던 민중인가에 대해 점평하고, 3.1운동이 끼친 영향을 정치적 영역에서만이 아니라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3.1운동의 주도세력은 천도교인가 기독교인가에 대한 상반된 주장을 검토하여, 인적 구성, 시위의 전개, 피해 상황, 지역적 확산 등을 고려해 볼때 기독교가 주도한 민족독립운동이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The March First movement began with the promulgation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framed by the thirty-three representatives of the Korean people. Formal declaration of independence provided the main impetus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nto a struggle for freedom carried on by the whole of the Korean nation. The demonstration for independence, so vast a scale, gradually spread into the countryside. During three months from March to May, more than two million Koreans directly participated in more than 1,500 separate gathering, in all but seven of the country’s 218 country administrations. The demonstrations quickly spread as well to Manchuria, to the Russian Maritime Territory, and to the other overseas areas. These peaceful demonstration were crushed by military force, so 46,948 demonstrators arrested, 7,509 killed, and 15,961 injured, while as many as 715 houses were destroyed or burned, along with 47 churches and 2 schools.There has been a lot of researches over the past years on the March First Movement, especially concerned with its motives of the beginning, leading force or leading power groups of the progress of the movements, but there have been conflicting view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otive, power groups, role of the religions, and the impact of the movement on modern Korea. In this paper the writer examined various conflicting issues surrounding the background, motives, socio-political context of the March First Movement and of the effect it had on modern Korea, in light of current scholarship.

I. 시작하면서

II. 만세운동의 전개, 시위 참여 및 피해 상황

III. 3.1운동의 정의: ‘3.1운동’인가 ‘3.1혁명’인가?

IV. 만세운동의 배경: 외인론(外因論)과 내인론(內因論)

V. 3.1운동의 주체는 민족대표인가, 민중인가?

VI. 3.1운동의 영향은 정치적 영역뿐인가?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