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의례를 통해 본 헝가리인의 민족 정체성
Hungarian National Identity Seen in Birth Ritual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동유럽발칸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제43권 3호
- : KCI등재
- 2019.08
- 71 - 94 (24 pages)
통과의례는 한 집단 혹은 민족의 믿음과 신앙과 밀접한 영향 관계를 맺고 있어 그 집단의 정체성을 규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특히 헝가리 민족은 샤머니즘을 숭상하던 아시아에서 중세보편종교인 크리스트교를 숭상하는 유럽으로 이주해 온 민족이라는 점에서 그들의 정체성을 규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가 된다. 헝가리 출생 의례에 있어서 특이한 점은 그들이 896년에 유럽에 정착했고 서기 1,000년에 크리스트교를 수용하여 유럽문화권에 편입된 지 대략 1,000여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출생 의례 속에 샤머니즘적 요소와 기독교적 요소가 여전히 혼재되어 있다는 점이다. 출생 의례는 각 단계별로 샤머니즘적 요소와 기독교적 요소가 혼재 되어 있는데 출생 이전 단계에서는 샤머니즘적 요소가 주를 이루고 있는 반면 출생 이후의 의례는 주로 기독교적 요소로 구성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양상은 유럽을 원거주지로 하며 기독교를 국교로 한 다른 국가(예를 들면 폴란드)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이주민족으로서의 특징을 보여준다. 유럽 정착 후 서기 1,000년에 왕권에 의해 시행된 강력한 기독교화 정책으로 헝가리 전통 민간 신앙이 기독교 문화에 의해 다양한 분야에서 상당히 위축되었지만 상장 의례, 특히 출생 의례에서 만큼은 1,000여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기독교 의례와 함께 상존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Being in close relations with the belief and faith of a group or nation, a rite of passage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identity of the group or the nation. It is crucial for defining the Hungarians identity especially in that they moved from shamanistic Asia to Christian Europe. The Hungarian birth ritual is characterized by the mixture of shamanistic and Christian elements, although more than one thousand years have passed since they were incorporated into the European culture area by settling down in Europe in 896 and adopting Christianity in 1000. The birth ritual is led by shamanistic elements in the pre-birth stage, whereas thoroughly consisting of Christian ones in the post-birth stage. This is not found in other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Poland, where their ancestors lived originally in Europe and Christianity is the state religion. Indeed, Hungarian folk religion has considerably been shrunk by Christian culture in diverse fields, but funeral ritual and, above all, birth ritual still coexist with Christian ones.
1. 들어가는 말
2. 출생의례를 통해 본 헝가리인의 민족 정체성
2.1. 출생의례에 나타나는 샤머니즘적 요소
2.2. 출생의례에 나타나는 기독교적 요소
3.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