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086.jpg
KCI등재 학술저널

18세기 후반 상주 玉洞書院 청액활동과 사액의 의미

Significance of Sangju Okdong Seowon’s Cheongaek Activity and Saaek the late 18 century

DOI : 10.15186/ikc.2019.8.31.93
  • 133

이 논문은 상주 옥동서원 소장 『書院日錄과 『疏廳日記를 중심으로 청액 활동 과정을 검토하였다. 정조 즉위 후 원사정책은 여주목 大老祠와 안동부 西磵祠에 편액을 내리면서 노론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여기에 더해 영남을 우대하는 정책이 시도되기 시작하였다. 그 예가 선산부 낙봉서원에 사액한 일이다. 이곳은 남·노가 공조하여 청액활동을 펼쳐 사액된 곳으로 깊은 의미를 가진다. 정조는 남인의 영수 채제공을 우의정에 등용하여 무신란 60주년 기념의 일환으로 충신 재평가와 신원 사업을 추진하였다. 옥동서원 측은 정조의 이러한 행보에 대해 영남을 새롭게 인식하고 있다는 판단하에 영남유생 326명이 연명하여 청액소를 올리기로 결의하고 본격적인 청액활동을 전개하였다. 한편 정조는 영남 『戊申倡義錄』의 충신 신원과 더 나아가 조덕린·황익재 신원까지 강행하면서 노·소론과 첨예하게 대립하였다. 정조의 충신 재평가와 신원 사업은 노론을 견제함과 동시에 충신과 충절을 공식화하여 군신 관계를 회복하고, 영남 남인을 등용하기 위한 명분으로 활용하고자 함이었다. 이후 집권당의 강력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이 정책은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대립으로 인해 옥동서원의 청액 복합은 중지와 재개를 반복하였다. 그사이 정조의 충신 재평가 사업과 신원은 서서히 수습되면서 왕권도 회복되어 갔다. 옥동서원 복합도 재개되어 청액활동 8개월 만에 사액 되었다. 한 차례의 청액 활동으로 사액된 예는 극히 드물었기 때문에 그 의미는 컸다. 그렇다면 이렇게 짧은 시간에 사액된 배경은 무엇일까. 첫째 정조가 추진했던 영남 우대정책 시기를 잘 파악하여 청액소를 올렸다는 점. 둘째 옥동서원의 제향인물이 충신평가 사업에 부합한 인물이었고, 영남 남인계 서원이었다는 점. 셋째 중앙에 포진되어있는 황희의 후손들과 채제공·홍인호 등의 적극적인 후원이 있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옥동서원은 황희 영정을 奉安한 白華黌堂으로 문중이 주도적으로 운영하여 관내를 영도하지 못했고, 관심도 크게 받지 못한 편이었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면 옥동서원의 청액 활동과 사액은 서원의 위상 제고와 인식변화에 큰 기여를 하였다.

This study closely investigated the petitioning activity process, focusing on the Sangjumok Okdong Seowon’s (Confucian Academy’s) Seowonilrok (Daily Journal) and Socheongilgi (Diary of Reporting to the King). Immediately after King Jeongjo acceded to the throne, the government party implemented stable policies by granting a tablet to Daerosa, Yeojumok and Seogansa, Andong-bu. Also noteworthy was the fact that a title was bestowed to the Seonsan-bu Nakbong Seowon through a cooperative petition by the Nam-in (Southern faction) and Seo-in (Western faction) in an attempt to embrace Yeongnam. Later, the project of appointing the Nam-in Leader Chae Jae-gong as the second vice-premier and reevaluating the loyalists in Yeongnam Musin Changeuirok was promoted in earnest. This policy was sufficient to shake Confucian scholars in Okdong Seowon and to result in joint signing by 326 persons, including the Chief of Reporting Cho Kyu-jin, through a general meeting and to trigger a decision to submit a report for a petition. The petitioning activity then began in earnest. Nevertheless, King Jeongjo pushed ahead with revenge for the loyalists in Musin Changeuirok and even with revenge for Jo Deok-rin and Hwang Ik-jae, so he was in sharp conflict with No-ron, which strongly opposed them. For this reason, Okdong Seowon’s petition was repeatedly suspended and resumed. In addition, the government party pointed to Yeongnam as a cause for the chilling of the political situation, so the petition reporting did not meet the threshold imposed by Seungjeongwon. Consequently, as King Jeongjo had planned, the political situation was slowly settled and the royal authority was restored. Meanwhile, the petition was resumed and was successfully completed, with title bestowal in eight months. Bestowing a title after the first petition activity was very rare. Of course, this was possible due to the help of Hwang Hui’s descendants, Chae Jae-gong and Hong In-ho, located in Hanyang. However, the most significant reason for bestowing the title was that Okdong Seowon understood King Jeongjo’s intention to broaden the foundation of his influence by appointing Nam-in. In addition, this can be viewed as a very special case of title bestowal to an able premier, corresponding to the then loyal and loyalist evaluation project, by systemic development of petition activity, using the chance. Okdong Seowon was operated by the clan, beginning with the enshrining of the portrait of Hwang Heui by Baekhwahoengdang; therefore, it neither led the jurisdiction nor attracted much attention. Limited accessibility due to geographical factors and its location west of Sangju also cannot be ignored. Taking these into account, the petition activity and title bestowal contributed greatly to the status of the Seowon and a change in perception.

Ⅰ. 머리말

Ⅱ. 청액활동

Ⅲ. 사액과 의미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