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성지능(자기감성이해, 감성활용, 감성조절, 타인감성이해), 의사소통능력(목표간파, 조리성, 집중력, 주장력, 반응력, 자기노출), 자아존중감(가정적 자아존중감, 개인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의 영향관계를 파악하 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대구, 경북 소재 4년제 대학 항공서비스 관련 전공 대학 생을 대상으로 총 230부의 설문지를 확보하여 SPSS 22.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기감성이해는 집중력에, 감성활용은 조리성과 자기노출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감성조절은 조리성과 주장력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타인감성이해는 조리성, 집중력, 주장력, 반응력에는 정(+)의 영향을, 목표간파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노출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감성이해는 자아존중감의 세 개 하위 요인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감성활용은 가정적 자아존중감, 개인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사회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감성조절은 개인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가정적 자아존중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타인감성이해는 사회적 자아존중감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능력의 조리성, 집중력은 자아존중감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반응력은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노출은 개인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목표간파와 주장력은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감성지능을 높이기 위해 상담프로그램 강화와 관련 교양 교과 목을 늘이고 인성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즉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과에서 교과목 선정 시 감성지능 향상을 위한 대인관계 훈련 프로그램, 인성 함양 프로그램 등이 교육내용에 포함 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steem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four-year aviation service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to conduct research and verification using the SPSS 22.0 for Windows Statistics program. First, the analysis show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partial effect on communication skills. Other sensi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factors except self-exposure and target interception, and others showed a negative effect on target liver wave. Emotional control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ssertiveness and cooking, and a positive influence on self-sensitivity.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has shown partial effects on self-esteem. Self-sensitivity ha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three sub-factors of self-esteem, and emotional utilization ha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ome self-esteem and personal self-esteem. Emotional control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son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Third, communication skills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effect on self-esteem. Responsiveness has shown a negative effect on both the self-respecting sub-factor an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factors of self-esteem. Through this study, we have identified the need to strengthen counseling programs, increase related liberal arts courses and strengthen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In other words,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respect, it suggests that interpersonal training programs for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sonality-building programs for selecting subjects in departments need to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