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099.jpg
KCI등재 학술저널

3~5세기 금강유역 토기가마 연구

A Study of Earthenware Kilns along the Geum River in the 3rd-5th Centuries

DOI : 10.52557/tpsh.2019.114.35
  • 341

본 연구에서는 3~5세기 금강유역 토기가마 구조와 출토유물 분석을 통해 분기를 설정하고, 변화양상과 특징을 파악하여 이를 4세기 중반 백제의 세력 확장과 관련한 당시의 사회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총 3개의 분기를 설정하였다. 기는 3세기 전반에서 4세기 중반까지이다. 이 시기 토기가마는 취락 내 위치하여 자급자족의 조업방식을 이루는 집단 과 토기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집단이 공존하고 있다. 가마의 규모는 대부분 소형~중소형이며, 소성부는 모두 바닥시설이 없는 단순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출토유물은 일상생활용기가 주로 확인되었다. 기는 4세기 중반 이후부터 4세기 후반까지로, 백제의 직 간접적인 영향으로 고배, 개배 등과 같은 새로운 기종이 출현하였다. 그러나 가마의 입지와 구조, 소성방법 등은 기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기는 백제 중앙양식의 영향력이 금강유역 내 강하게 미치는 단계는 아니었으며, 기존 재지사회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기는 4세기 후반부터 5세기 후반까지이다. 모든 가마가 취락과 분리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가마의 규모가 커져 대부분 중대형 이상에 해당하고, 소성부 바닥시설이 확인되었다. 출토유물에서도 이전 시기보다 중앙양 식의 기종이 새롭게 더 추가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백제의 영역확장으로 인해 금강유역 내 백제 토기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토기의 수요 계층이 다양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와 함께 늘어난 수요를 맞추기 위해 가마의 구조적 발전이 이루어졌고, 이전시기 보다 대규모의 조업방식으로 운영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ransition of earthenware kilns along the Geum River from the 3rd to 5th Centuries based on their structures and artifacts excavated to identify he social background of Baekje in the mid-4th Century in regards to the conquest of Baekje. Term I is from the early 3rd Century through the mid-4th Century. The earthenware kilns of that time were located amongst the settlements and the self-support groups coexisted with the professional earthenware makers. Most kilns were small to med-small in size and the firing part was simple with no pedestal. Most of the artifacts were everyday vessels. Term is from the mid-4th Century to the late 4th Century. With the direct/indirect influence of Baekje, the artifacts showed new mainstream styles such as Gobae and Gaebae. However, the locations, structures, and firing methods of the kilns were similar to those of Term .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influence of Baekje s mainstream style was not very strong along the Geum River and followed the style of precious local society. Term is from the late 4th Century through the late 5th Century. All kilns were separated from the settlements to increase the size of kilns and add the pedestals to the firing part. The artifacts also shifted from local styles to central mainstream styles and this manifests that the expansion of Baekje led to the popularity of Baekje s earthenware from the Geum River area and the earthenware was consumed by a wide variety of classes. The kilns were structurally developed to meet the increasing needs and consequently operated large-scale systems to mass-produce a variety of earthenware.

Ⅰ. 머리말

Ⅱ. 유적 현황

Ⅲ. 가마구조 및 출토유물 분석

Ⅳ. 분기별 특징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