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부모애착, 자아존중감, 비행 간의 종단적 관계
Application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in Testing Longitudinal Relation of Parental Attachment, Self-Esteem, and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19권 17호
-
2019.091171 - 1194 (24 pages)
-
DOI : 10.22251/jlcci.2019.19.17.1171
- 680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비행의 종단적 변화를 알아보는 한편 청소년 비행의 예측 및 결과변인으로서 관련되어 연구되어 온 부모애착 및 자아존중감이 종단적으로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ueonggi Education Panel Study)의 패널 자료 중에서 경기도 내 소재한 63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까지의 시점인 1차년도(2012년)에서 3차년도(2014년) 조사에 참여한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4,051명(남 2,084명, 여 1,967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학년 변화에 따른 비행, 부모애착, 자아존중감의 변화 양상과 변인 간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자기회기교차지연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기 비행, 애착, 자아존중감 모두 시간의 변화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 시점의 애착, 자아존중감, 비행은 모두 이후 시점에 지속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 애착, 자아존중감 간의 교차지연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전 시점에 애착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며, 이전 시점에 애착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비행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 시점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애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존중감이 비행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의 경우 이전 시점의 비행은 이후 시점의 애착 및 자아존중감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비행의 예측 연구에 대해 제언하고 교육 및 상담 장면에서의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longitudinal changes of adolescent delinquency and examined predictive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and self-esteem on adolescent delinquency. Data from the Gueonggi Education Panel Study, which is a three-wave, three-year survey of 4,051 students (2,084 male, 1,967 female) who are enrolled in 63 middle schools in Gueonggi area from 2012 (first wave) to 2014 (third wave) were use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implemented to explore changes in adolescent delinquency, self-esteem, and parental attachment as well as associations among these variables. Results suggested that adolescent delinquency, self-esteem, and parental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 on subsequent adolescent delinquency, self-esteem, and parental attachmen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ere longitudinal relations among delinquency, self-esteem, and parental attachment. Previous parental attachment predicted subsequent self-esteem in positive direction as well as subsequent delinquency in negative direction. However, although previous self-esteem had significant impact on subsequent parental attachment positively, previous self-esteem did not affect subsequent delinquency. Previous delinquency predicted subsequent parental attachment and self-esteem in negative direc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in adolescent delinquen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