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117.jpg
KCI등재 학술저널

상상적 체험 공간

The Space of the Imaginary Experience : The Operation of Shensi(神思) in GuoXi(郭熙)’s Linquangaozhi(林泉高致)

DOI : 10.35222/IHSU.2019.38.3.157
  • 77

본고는 郭熙가 『林泉高致』에서 산수화 창작의 본뜻이라고 밝혔던 ‘상상적 체험을 통해 즐기는 산수의 경계’를 이루기 위해 제시하는 창작론을 神思의 운용으로 고찰한 것이다. 첫째, 그는 섬세한 자연관찰과 사실적 묘사력을 바탕으로한 이상적인 산수공간의 창작을 요구하여 生意 가득한 체험 공간을 유도하였다. 둘째, 그는 문학적 소양으로서 詩意의 확충을 요구하여 세상사에 대한 인간의 감수성을 환기시키는 상상 체험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셋째, 곽희는 이들을 조형적으로 융합시키는 三遠을 제시하는데, 시각적 장치로서의 ‘遠’은 道와 玄, 즉 무한한 것으로의 체험을 유도한다. 곽희는 시의 적절하게 산수화의 새로운 창작적 요구에 부응했고, 신사의 운용에 따른 산수화의 심미성을 고취시켰으며 결국 문인들이 이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This study examines GuoXi(郭熙,1020-1090)’s creation theory, by operating shensi(神思), which was suggested to achieve ‘the boundary of landscape enjoyed through imaginary experiences’ as the purpose of landscape paintings in his Linquangaozhi(林泉高致). First, GuoXi induced the vivid experience space by demanding the creation of ideal landscape paintings based on delicate observation and realistic depiction about nature. Second, he insisted on the need for imaginative experience that evokes human sensitivity to the world by demanding the expansion of the poetic meanings as literary literacy. Third, he suggested the ‘three distance(三遠)’ as a visual device induces the experience of Tao(道) and Profundity(玄), that is, the infinite. GuoXi responded to the new creative demands of landscape paintings timely, inspired the aesthetic qualities of landscape paintings by the operation of the shensi(神思), and eventually,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the literary people to actively pursue it.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산수화에서 神思의 운용

Ⅲ. 곽희의 『임천고치』에 나타난 상상적 체험 공간

Ⅳ. 平遠의 체험에서 沖澹의 경계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