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120.jpg
KCI등재 학술저널

부ㆍ모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의존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Moderation of Psychological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Mobile Phone Overuse

DOI : 10.24299/kier.2019.32.3.311
  • 1,147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가 심화되고 있어 이를 감소ㆍ예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지속되고 있다. 이 연구도 이러한 맥락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을 조절할 수 있는 변인으로 회복탄력성에 주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 471명을 대상으로 부ㆍ모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의존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부ㆍ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회복탄력성은 스마트폰 과의존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부ㆍ모와의 폐쇄적 의사소통은 회복탄력성과는 부적 상관이, 스마트폰 과의존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즉,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이라고 지각할수록, 회복탄력성은 높았고 스마트폰 과의존 경향은 낮았다. 반면 부모와 의사소통이 폐쇄적이라고 지각할수록, 회복탄력성은 낮았고 스마트폰 과의존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와의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의존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회복탄력성이 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으로 인한 스마트폰 과의존을 완화하였으며, 부와 폐쇄적 의사소통으로 인한 스마트폰 과의존은 심화시켰다. 셋째, 회복탄력성이 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와 개방적 의사소통을 할 경우 회복탄력성은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를 낮추는 완화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경향을 완화하기 위하여 회복탄력성이 효과적인 개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부ㆍ모 의사소통에 따라 차별적인 개입 방안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revalence of mobile phone overuse among adolescents is globally on the ris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and mobile phone overuse through the moderation of psychological resilience. Four hundred seventy one middle school students(57% gir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comple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on their perceived parent communication style, resilience, and mobile phone overu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bile phone overus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and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blematic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mobile phone overuse. Second, resili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mobile phone addiction. Resilience mitigated the overuse of mobile phone through open communication between adolescents and their fathers. Resilience intensified the mobile phone overuse in the case of problematic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s. Third, resili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 communications with their mothers and mobile phone addiction. The resilience buffered mobile phone overuse through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mothers.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level of resilience of adolescents in lowering mobile phone overuse. Moreover, it suggests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