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재활상담사 자격유형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Qualification Grade of Rehabilitation Counselor
- 나운환(Na, Woon-Hwan)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재활복지
- 재활복지 제23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09
- 1 - 23 (23 pages)
이 연구는 장애인재활상담사 국가자격제도의 자격유형에 대한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 면접조사 방식을 통해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자격유형은 이 직업의 임무와 과업 등을 토대로 할 때 3등급으로 구분하고 있는 유형구분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배치방안을 고려할 경우 급수별 임무와 과업 제시에 제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둘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자격유형에 따른 응시자격에 있어서도 장애인복지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과목을 이수한 사람과 사회복지사 자격 소지자로서 장애인 재활관련 기관경력으로 응시하는 사람과의 형평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셋째, 장애인재활상담사 직무와 임무, 과업 등을 고려할 때 교과목을 이수하지 않은 자에게 응시자격을 주는 것은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직업인으로서 전문성 확립과 관리에 제한 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①3급으로 구분하고 있는 자격유형을 2급 체계로 개편할 필요가 있으며, ②2급 체계로 개편하는 경우 3급 응시 자격자는 2급으로 2급 응시자격자는 1급으로 전환하고 모든 사회복지사 자격소지자의 응시자격은 2급으로 개편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③장기적으로는 사회복지사 응시자격자는 교과목을 이수한 자에게 한정해서 응시하게 하는 개선이 필요하며, ④마지막으로 장애인재활상담사 자격제도가 시행초기인 만큼 전문가로서 자격유형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자격유형에 대한 응시자격을 직무와 임무, 과업을 토대로 명확한 자격구분과 자격제한을 통해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 of qualification grade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of rehabilitation counselor and the research methods were FGI and literature study.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type of qualification of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was analyzed as not being appropriate for the type classification of the 3 grade when it is based on the task analysis, Second, the persons who have completed the subject of qualification for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and who holds the qualification of the social worker as takes the career of the disabled rehabilitation related organizations is analyzed as having a problem of equity, Third, considering that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s duties and tasks task element, it is analyzed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establishing and managing professionalism as rehabilitation counselor to give eligibility to those who have not completed the course. In order to improve, First, is a need to reform the qualification grade, which is divided into 3 levels, into a 2 level system, Second, in case of reorganization as a second-level system, it is suggested that the qualification of the third-level applicant and the qualification of all social workers is changed to the second level, the level of the second-level applicant is changed to the first level, Third, in the long term, the social worker candidates need to improve their qualifications to those who have completed the course, Finally, in order for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qualification system to establish a qualification type as an expert, the eligibility for the examination should be based on clear qualifications based on the duties and tasks.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지식영역과 자격유형 구분
Ⅲ. 장애인재활상담사 자격 유형에 대한 실태 분석
Ⅳ. 전문가 면접조사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