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목적: 세계은행(WB)에서 발표한 국가별 물류성과지수(LPI)에서 우리나라는 160개국 가운데 2014년 21위, 2016년 24위, 2018년 25위로 지속해서 하락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물류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LPI 지수가 낮아지는 이유를 국가경쟁력 지수(GCI) 측면에서 분석하여 이를 극복하고 국가 물류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논문구성/논리: LPI와 GCI를 연계하여 구조화한 후 GCI 측면에서 LPI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를 식별하고자 딥러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딥러닝 기법은 입력값이 출력값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성을 정확하게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시나리오 분석을 적용하였다.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LPI 성과향상을 위해서는 정부규제 부담, 다수 이해당사자 간 협력, 급여와 생산성, 통관절차의 효율성,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수, 부패지수, 도로연결, 노동세율, 권한위임 의지, 관세의 복잡성, 관세율의 개선이 특히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창성/가치: 국가적 차원에서 물류경쟁력을 분석하고자 경제 지표와 연계하고, 이러한 상호 연계성을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핵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적 요인뿐만 아니라 부패지수, 사법부의 독립 등의 사회적 요인의 중요성도 국가의 물류성과를 개선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According to the World Logistics Performance Index (LPI) released by the World Bank, Korea ranks 21st in 2014, 24th in 2016 and 25th in 2018 among 160 countr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son why the LPI index is lowered even though various logistics policies are being pursued. Composition/Logic: In order to identify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LPI in terms of Global Competitive Index(GCI), we analyzed it by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In fact, the deep learning technique has a limitation in accurately interpre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input value to the output value. Thus, scenario analysis was appli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Findings: For improving LPI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 burden of government regulations, cooperation among multiple stakeholders, salary and productivity, efficiency of customs procedures, high-speed internet subscribers, corruption index, road connection, labor tax rate, willingness of delegation, tariff complexity, tariff rate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Korea. Originality/Value: It is meaningful that we analyzed logistics competitiveness at national level by linking with economic indicators and analyzing such interlinkages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Especially, in Korea, the importance of social factors such as corruption index and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as well as economic factors were also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for improvement of national logistics performanc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모형
Ⅳ. 실증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9)
- 소비자의 정보원 유형에 따른 설득지식이 정보 공신력과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딥러닝을 이용한 한국의 물류경쟁력에 관한 연구
- 몽골증권시장에서 현금배당의 공시효과
- The Effect of Online Vacation Service’s Attribute of Consumer Choice: Case Study of People from the Post-80s and 90s Generation in China
- 콘텐츠 전자상거래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비교 분석
- 물류활동에 있어서 영업용 화물자동차 운전자의 소득수준 분석에 관한 연구
- 전자계약을 위한 eTerms 2004와 Guide To eContracting 개정에 관한 연구
-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the Construction of e-commerce Brands of Agricultural Product Enterprises in Shandong Province : Based on SWOT-AHP Model
- 기업재무구조요인과 수직적/수평적 FDI
추천 논문
-
홍성태(Seongtae Hong), 김창희(Changhee Kim) 한국생산관리학회 한국생산관리학회지 第34卷 第1號 2023.02
-
진문걸(Chen Wen-Jie), 주판(Zhou Pan), 배기형(Bae Ki-Hyung) 한국물류학회 물류학회지 제31권 제2호 2021.04
최근이용논문
-
오두영(Doo-Young Oh) 한국세계문화사학회 세계역사와 문화연구 제29집 201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