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체제가 조직 내 모성보호분위기를 향상하는 지를 노동연구원의 사업체 패널 자료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1차년도(2005년)부터 6차년도(2015년)까지 모두 응답한 100인 이상 고용규모의 사업체들이 형성한 균형패널자료를 추출하여 이를 표본으로 하고 고정효과모델, 확률효과 모델, 그리고 개체별 특이성과 시간대별 특이성 등을 함께 통제한 이원고정효과 모델 등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종속변수로써는 조직내 공식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모성보호 관행의 수’와 ‘실제로 잘 수행되고 있는 모성보호 관행의 수(모성보호관행활성정도)’를 도입하였고 고성과 작업체제의 지수를 산출해 독립변인으로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위 3개 분석 모델 모두에서 고성과 작업체제는 조직 내 모성보호분위기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체별 특이성과 시간별 특이성을 통제한 이원고정효과 결과에서는 2005년이후 지속적으로 조직내 모성보호분위기가 향상되어 왔을 뿐 아니라 고성과작업체제지수가 증가할수록 조직내 모성보호분위기는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의 의미는 고성과 작업체제의 이념적 논쟁의 맥락에서 새롭게 해석될 수 있다. 즉 고성과 작업체제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과 비판론적인 입장에서의 논쟁에서 본 연구결과는 긍정적인 입장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정교하고 합리적인 인적자원관리체제는 조직 내 모성보호 분위기를 향상함으로써 조직과 구성원간의 상호호혜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미래의 연구 방향 등에 대해 제시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whether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had positive impacts on the maternity protection climate in the organization. I analyzed the workplace panel data surveyed by Korea Labor Institute, the selected sample was composed of workplace which has over 100 employees and responded continuously from 1st year(2005) to 6th year(2015). Based on panel data analysis, I studied this topic through fixed effect model, random effects model, and two-way fixed effect model which controlled both the entity specificity and time specificity. I found that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had positive impacts on the maternity protection climates through all the three analytic model. Based on the two way fixed effects model which controlled both the entity specificity and time specificity, since 2000s, as time going on, the maternity protection climate in the workplace has improved consecutively. I discuss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proposed some future directions.
Ⅰ. 서 론
Ⅱ. 연구 배경
Ⅲ. 실증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