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호텔종사원의 직업소명의식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Sense of Calling of Hotel Employees on Customer Orientation: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220
149138.jpg

본 연구는 호텔 종사원의 직업소명의식이 고객지향성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보고, 또한 조직후원인식에 대해 조절효과를 두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 진행했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는 2019년 07월 01일부터 07월 15일까지 시행하였으며 총 282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최종적인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종사원의 직업소명의식과 고객지향성은 천직의식(β= .602, P<001), 일가치감(β=270, P<.001), 기여·헌신(β=.367, P<.001)이 종속변수인 고객지향성에 대하여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인식이 호텔 종사원들의 직업소명의식과 고객지향성 간에 조절효과는 호텔 종사원의 직업소명의식의 개별적인 조절효과를 보면 일가치감&#8277;정서적 인식(β=110, P<.05),은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셋째, 수단적 인식이 호텔 종사원들의 직업소명의식과 고객지향성 간에 조절효과는 일가치감&#8277;정서적 인식(β=123, P<.05),은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job consciousness of hotel employees affects customer orientation. In add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it affects the recognition of tissue sponsorship.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01, 2019 to July 15, 2019. A total of 282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calling consciousness and customer orientation of hotel employees are instinct consciousness (β = .602, P <001), work value (β = 270, P <.001), contribution and commitment (β = .367, P < .0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e dependent variable. Second, the effect of emotional perception between hotel employees occupational voc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is significant. The effect of emotional adjustment on hotel employees individual consciousness is significant (β = 110, P <.05). There was a positive influence. Third, the moderating perception of the hotel employees job calling and customer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work value and emotional perception (β = 123, P <.05).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