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적 요소를 기반으로 한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Singing Activities Based on Musical Elements on Young Children’s Musical Expression Ability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19권 18호
-
2019.091099 - 1119 (21 pages)
-
DOI : 10.22251/jlcci.2019.19.18.1099
- 677

본 연구에서는 음악적 요소를 기반으로 한 노래 부르기 활동을 구성하고, 이것이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박자. 리듬, 음높이, 음길이, 빠르기, 음색, 셈여림이 포함된 음악 적 요소를 기반으로 한 노래 부르기 활동 20개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2018년 9월 18일부터 12월 8일까지 만 5세 유아 4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음악적 요소를 기반으로 한 노래 부르기 활동을 총 20회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생활주제 중심의 노래 부르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가 끝난 후, 두 집단의 음악적 표현 능력을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유아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전체적인 음악적 표현 능력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노래 부르기, 악기 활동, 신체로 표현하기, 음악 창작하기와 같은 음악적 표현 능력의 각 하위 영역에서도 점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singing activities based on musical elements, and to find how the activity influences young children’s musical expression ability. To achieve that,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discussion so as to design 20 singing activities based on such musical elements as rhythm, beats, pitch, sound field, tempo, tone, and dynamics. From Sep. 18 to Dec. 8, 2018, forty one young children aged 5 had been selected as study subjects, and had been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The singing activities based on musical element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wenty times, and the singing activities based on living themes were applied to the comparative group. After the end of experimental treatment, the two groups’ musical expression abilities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overall musical expression ability than the comparative group, and had higher points in the sub categories of musical expression ability: singing,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expressing with the body, and creating music.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