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153.jpg
KCI등재 학술저널

금강산의 사찰전승에서 聖의 引入과 俗의 배척 양상

- 聖境지향을 중심으로

  • 16

이 본고는 금강산 내 사찰의 전승담에 보이는 종교서사로서의 속성, 즉 성스러움의 추구 양상을 살피는데 목표를 둔다. 금강산 관련 설화가 다양하지만 성경 의식이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산내에 위치한 제 사찰들의 연기담이라 보고 이들을 통해 성현 현상을 주목하고자 하는 것이다. 금강산에 대한 성경화 작업은 대체로 聖의 引入과 俗의 排斥, 이 두 방식으로 진행된다. 우선 聖의 引入현상은 불경 내 금강산과 국내 금강산을 동일시하는 시각에서 찾아진다. 이는 국내 금강산의 내력과 불연성을 고취하는 단초 구실을 했다. 아울러 普德窟연기담은 금강산/방산으로 공간을 이원화한 후 方山을 통과제의의 공간으로, 금강산은 神聖性을 담보하는 공간으로 형상화하고 있음이 밝혀진다. 俗의 배척이 잘 드러나는 예로는 金同이야기, 楡岾寺·靈源庵 후일담을 꼽을 수 있다. 금동이야기는 금동/명승간의 正統/異端 가리기를 넘어서 금강산이 異端에 의한 俗化의 위기에서 벗어나 불보살과 고승이 머무는 곳임을 명백히 한다. 유점사 후일담에서는 이미 성현을 함축한 대상을 외면하고 속된 것을 추종할 때 어떤 결과가 따르는 지를 증거한다. 영원암 후일담에도 자신의 임무와 사명을 저버린 주지가 등장하는데 이를 금강산의 穢土로 여긴 神人에게서 가혹한 징벌을 받게 된다. 상기 금강산 설화들은 출현시기가 다르고 내용면에서도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한결같이 금강산의 성스러운 기원과 역사를 표방하는 쪽으로 서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금강산내 사찰에 얽힌 설화들은 금강산의 聖性을 앞세우고 있다는 점에서 종교담론의 특성을 농후하게 간직한 대표적 사례들이라 말할 수 있겠다.

The narratives we ve discussed so far have been linked to holyness . Not just the speaker s own belief, but, trying to get the public to understand how sacred the mountain is. In order to make Mt. Geumgang a sacred place, the monks chose to rely on Buddhist scriptures from early times. Claiming that Mt. Geumgang in Bulgyeong and Mt. Geumgang in Korea are the same, it has helped greatly to sanctify Mt. Geumgang. On the other hand, the sacredness of Mt. Geumgang was expressed through the narrative. To be specific, the Yoo Jum Temple, Bodeok Temple stories attract sacredness to Mt. Geumgang, while Geumdong Temple, Young Won Temple stories reject divinity. The arrival of 53 ministries at Yugyeom Temple refers to the arrival of saints in India. The story of the Bodeok Cave is summed up as a self-aware site of Mt. Geumgang, a place where the government fails to live due to lingering expectations, while Mt. Geumgang becomes a place where the government reborn itself as the owner of the Bodeok Cave. The story of Yoo Jum Temple, Young Won Temple, Geumdong Temple stories deals with the dirty of Mt. Kumgang and its healing. According to the story of Geumdong, Geumdong follows false religion, and after a confrontation, he is ousted from Mt. Kumgang. Geumdong reveals the structure of Mt. Geumgang, Naong and Jigong, along with the celestial sphere. The Yugyeom Temple story shows how a Buddhist monk who disregards sacred statues from India is punished, and the story of Young Won Temple shows the will of heaven to expel a Buddhist monk who does not observe the rules and even incinerate a temple that has been defiled by him. The two stories clearly illustrate how the sacredness of Mt. Geumgang has been preserved from the common secular pollution. The folktales so far contain a common outline that the two sides have established a confrontation between sacred and vulgarity and have kept the mountain s scenic beauty in spite of the insubordineness.

1. 문제제기

2. 聖의 引入과 환기 양상

3. 俗의 배척과 정화 양상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