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의약분업이 약국약사의 전문주의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고 의약분업 이후 약사들의 집단 적인 전문주의 실천, 특히 다른 전문직과 이해가 충돌할 수 있는 영역에서의 실천을 체계론적 시각으로 고찰하였다. 전문직은 상호의존적인 체계에서 관할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다. 외부적 충격은 이러한 전문직 체 계 내 교란을 초래한다. 의약분업이 약국약사 전문주의에 미친 영향을 제도 이슈 중심으로 고찰하고 분업 이후 약국처방의 의료기관 집중도를 분석한 결과, 약국의 의료기관 의존도는 더욱 심화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약사사회 내부에서 전문주의를 향상시키고자 했던 그간의 노력들과 그 방향을 검토하여 애보트의 전문직 체계와 관할권 이론 하에서 약국약사 전문주의 전략을 제언하였다. 인구 고령화 및 만성질환 증가, 보건의료 산업발전 등 현대 사회의 변화는 의약품의 더 많은 소비를 요구하는데 반해, 공중보건 차원에서는 의약품 이용의 적정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고 약국 약사들은 이러한 사회적 필요에 맞는 과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약사전문성의 근간이 되는 사회적 대상이 ‘의약품’이라고 해서 약국약사들의 과업을 의약품 자체로만 제한할 필요는 없다. 약국약사들은 자신들의 사회적 대상이 의약품이라는 인식을 더욱 공고히 하고 이를 통해 공중보건 문제를 약국약사의 문제로 구성하는 기반으로 삼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llective practice of community pharmacies since the medical reform of the separation of drug prescribing and dispensing in terms of jurisdiction that compete with other professions. First of all,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classical professionalism theory and Abbott s theory of jurisdiction, were outlined. These background explained the topography of community pharmacy within system of profession and implications for their collective practices in an interdependent system of profession. We briefly reviewed some issues of the division of medicine related to pharmacy professionalism and analyzed the prescription concentration of community pharmacies after the separation of drug prescribing and dispensing. And also we identified and presented the efforts of the pharmacist in order to improve professionalism in response to these external changes. Finally, through analysis of the humanitarian implications of current pharmacies’ professional practices, we tried to suggest some strategies for the future. while pharmacy pharmacists have confined their social objects to “drugs”, pharmacists social tasks need not to limit their task into “medicine.” Rather, pharmacists should further consolidate the perception that their social target is medicine, and use it as the basis for the abstraction that constitutes the public health problem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내용 및 방법
Ⅳ.연구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