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도박 관련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Problem Gambling among School and Out-of-school Adolescents: Based on the 2018 Survey on Youth Gambling Problems

  • 1,410

본 연구는 돈내기 게임 경험이 있는 학교 및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도박 관련요인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생태학적 건강증진 모형(ecological health promotion model)을 기반으로 2018년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이차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대상은 조사시점 기준 지난 3개월 동안 돈내기 게임을 경험한 학교 청소년 5,080명과 학교 밖 청소년 510명 이었고, 문제도박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도박문제 심각성 척도를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 및 문제 수준의 도박을 경험한 학교 청소년은 22.3%, 학교 밖 청소년은 50.4%였다. 둘째, 이와 같은 문제도박 수준과 관련된 요인은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 간에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학교 및 학교 밖 청소년 모두에게서 공통적으로 문제도박 수준과 관련된 요인은 성별, 부모 동거 여부, 용돈 수준, 가족 간 대화 수준, 주변 도박자 유무, 예방교육 경험 여부였다. 반면, 주변 도박장 유무와 도박문제 인식 수준은 학교 청소년의 문제도박 수준과 학교 밖 기관 유형은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도박 수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문제도박 예방 및 개입에 필요한 실천적·정책적 전략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ssociated with problem gambling among school and out-of-school adolescents who experienced betting games. For the purpose, based on the ecological health promotion model, this study conducted secondary data analyses by utilizing the raw data of the 2018 Survey on Youth Gambling Problems. The analytic samples of this study were 5,080 school and 510 out-of-school adolescents, respectively, who experienced betting games during the last three months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urvey, and the Gambling Problems Severity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problem gambling.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2.3% of school adolescents and 50.4% of out-of-school adolescents experienced at-risk or problem gambling. Seco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problem gambling differed between school and out-of-school adolescents. Factors associated with levels of problem gambling consistently for both school and out-of-school adolescents were gender, whether to live with parents, average amounts of allowance, levels of family communication, whether to live in a neighborhood with gamblers, and whether to receive education to prevent gambling problems. However, whereas whether to live in a neighborhood with gambling places and levels of perceiving gambling problems were associated with levels of problem gambling for school adolescents, the type of supporting institutions was associated with levels of problem gambling for out-of-school adolescent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e and policy strategies to deal with and prevent problem gambling among adolescent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