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693.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가무형문화재 제 60 호 낙죽장도 제작 기법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Using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60 Nakjukjangdo

  • 140

전통기술에 의해 다양하게 생산되고 소비되는 문화상품은 인공지능으로 자동화설계가 가능한 현시대에서도 그 가치에 대한 평가가 높다. 다방면으로 활용 가능한 문화의 범위 중 무형문화의 공예분야가 가진 무한한 가능성이 고도로 집약된 현대 기술과 광범위한 제품과 만나 보여줄 확장된 문화세계에 대한 기대가 크다. 국가무형문화재 제60호 낙죽장도는 전통공예의 특성이 강한 분야인데, 본고는 이것이 지닌 전통적인 미를 현대적 디자인과 접목하여 문화상품으로 제안해 보았다. 이 를 통해 낙죽장도는 우리나라 민족이 추구하는 가치관이 담겨 있어 조형적 가치와 학술적 의미가 크다는 걸 알 수 있었다. 곧 낙죽장도에는 선비들의 정신세계가 녹아 있는데, 이러한 상징적 요소와 기술적 특징을 현대 디자이너와 협업하여 문화상품을 만들어 보았다. 다만 협업사례를 진행하면서 아쉬운 점이 발견되어 향후 디자인으로 개발할 때에는 제작 기법을 토대로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전통 낙죽장도가 디자인적으로 확장된 문화콘텐츠로서 대중들에게 널리 사랑을 받을 수 있게 되길 바란다.

Cultural products produced and consumed in various ways by traditional technology are highly valued even in this era when automated design is possibl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Expectations are high for the extended cultural world to be shown by meeting with highly concentrated modern technology and a wide range of products, among the range of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60 Nakjukjangdo is a field that has strong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rafts, and has proposed the traditional beauty of it as a cultural product in collaboration with modern designer. From this, Nakjukjangdo contains values pursued by the Korean people, which shows that it is of great formative value and academic significance. In the Nakjukjangdo, the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had their spirituality melted, and i collaborated with the modern designer sector to turn the symbolic elements and technical features into cultural products. However, we found something to be desired while conducting the cooperative case, and suggested a plan to improve it when on the basis of production techniques developing it into a design in the future. We hope that Nakjukjangdo will be loved by the public amid the improved environment and expanded cultural content.

Ⅰ. 머리말

Ⅱ. 국가무형문화재 낙죽장도의 분석

1. 상징성 분석

2. 학술적 가치

3. 기법 및 제작과정

Ⅲ. 낙죽장도의 현대 디자인의 협업사례

1. 낙죽 생활용품

2. 낙죽 연필케이스

3. 낙죽 조명등

Ⅳ. 낙죽장도 제작기법을 통한 디자인 개발 방안

1. 목공예 문화상품

2. 금속공예 문화상품

Ⅴ. 결론

□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