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농산물 브랜드에 대한 농업인 인식실태 연구 귀농 ․ 귀촌인과 토착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rmers Percep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Brand Focused on Return to One s Home Village People and Indigenous People

  • 208

최근 농촌의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6차산업화가 활발히 연구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북농민사관 학교와 영주시 농업인전문과정의 1년과정을 수료한 농업인들을 대상으로 브랜드에 대한 이해와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농업의 브랜드의 역할과 관련 종사자들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농업의 산업적 측면에서 수준을 끌어 올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농업인의 전문교육과정에서 내재화 교육, 즉 농업의 다양한 측면에서는 농산물 브랜드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고 브랜드 정체성을 인식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범위는 경북지역에 거주하며 치유농업, 6차산업에 관심을 가지는 농업인이 자신의 농특 산물을 판매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브랜드에 한정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은 사회․경제적 변인에 대해서는 범주형 자료형태로 수집하였고, 브랜드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리커트의 5점 척도로 조사하였 다. 조사에 의하면 농업인들의 브랜드 및 포장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을 알고 있지만 디자인을 단편적인 수준의 시각적 요소로만 인지하고 브랜드의 관리 및 소비자와의 관계성에 대한 의식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6차산업의 농특산물과 농촌체험형 마을 등에서 브랜드 디자인 통합관리의 정체성 확립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으나 조사에 의하면 농촌 현장에서 브랜드에 대한 관리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농촌에서 산업적 가치를 증대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에 필요한 교육과 관련 종사자들이 전문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ixth industrialization is being actively researched to revitalize the economy in rural areas.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understanding and current status of the brands to farmers who have completed the first year of the agricultural program at Gyeongbuk National Agricultural Academy and Yeongju as research data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by raising the level in terms of the industry in consideration of the future brand role and expertise of related workers. Therefore, it is aimed at identifying the concept of agricultural product brand and recognizing brand identity in various aspects of agriculture, internalization education in the professional curriculum of farmers. The scope of the survey was limited to brands that were used by farmers living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who were interested in healing and sixth industries to sell their agricultural products. The survey method was collected in a categorical data format for socio-economic variable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 5-point scale of the recorder in order to identify the degree of recognition for the brand. Surveys show that farmer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brand and packaging design, but recognize designs only as fragmentary visual elements and are less conscious of the brand s management and relationship with consumers. Although we know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integrated management of brand design in farming specialties and rural experience villages in the 6th rural area, investigation has found problems in management of brands at rural sites. Thus, to lay the foundation for increasing industrial value in rural areas, it can be seen that education necessary to establish brand identity and related workers need continuous management based on expertise.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 및 내용

2. 이론적 고찰

2-1. 농촌 브랜드 개념 및 가치

2-2. 고객 기반의 브랜드 정체성

3. 농업인 브랜드 인식 실태 조사

3-1. 사회경제적 표본 분석

3-2. 농산물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 분석

3-3. 귀농 귀촌인과 토착민의 브랜드 인식 차이 비교

3-4. 브랜드 개발비의 부담 주체별 만족도와 제작 주체별 만족도 비교

3-5. 브랜드 디자인 관련 요인 간 상관성 분석

4.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