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263.jpg
학술대회자료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Service Work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on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business -

  • 340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과 직무만족의 수준을 살펴보고,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 사업 보수교육을 수강하는 사회서비스 제공기관의 장, 관리책임자, 제공인력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25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조사결과 사회서비스 종사자는 주로 30~50대 중년층 여성이 종사하고 있으며, 대학학원 이상, 국가 민간 자격증을 모두 소지한 고급인력이 상대적으로 많이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서비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은 4.01로 사회복지인력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전문적 지식과 기술인식보다 전문적 가치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최종학력이 대학원, 민간자격증 소지, 제공기관장의 전문성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학력이 대학교, 자격증 미소지, 관리책임자의 전문성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 3.48로 사회복지인력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직무 외적만족 보다 직무 내적만족이 더 낮게 나타났다. 한편, 50대, 최종학력 고졸 이하, 제공기관의 장의 직무만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대, 최종학력 대학교, 관리 책임자의 직무만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 내에서는 보상에 대한 만족이 가장 낮고, 성취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대체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나, 운영기간은 위생요인인 직무 외적만족과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 서비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과 그 하위요소는 직무만족과 직무 내적 외적 만족에 모두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적 지식과 기술인식이 직무만족과 그 하위요소인 동기 위생요인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perceptions of expertise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service workers and to clarify the effect of them . In this study , we conducted an empirical survey including service providers , management directors , and heads who are educated for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jects . Totally 225 documents were used as the analysis materials . According to the survey , mostly 30 to 50 middle - aged women are engaged in social service and highly educated people with a postgraduate degree or both national and private certificates regarding social welfare field currently work for social service rather than the others . The results show that the social service workers perceptions of expertise score 4.01 on a 5 point scale and the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is higher than those of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 On the other hand , perceptions of the people who have post graduate’s degree , private certificate , and head position are the highest while those of the people who have bachelor’s degree , no certificate , and director position is the lowest . Overall job satisfaction scores 3.48 which is found to be at similar level compared to prior study of social welfare workers and in its sub - components , intrinsic job satisfaction is lower than extrinsic one . On the other hand , those in their 50 s , high school grade at the most , and head position show the highest satisfaction , while those in their 20 s, bachelor’s degree , and director position reveal the lowest one . The studies reveal that the demographic factors of social service workers generally do not affect job satisfaction , but the operational period was associated with extrinsic job satisfaction negatively . By the way ,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s of expertise and its sub - components on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 Also ,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had a greater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its sub - components , motivation and hygiene factors.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