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인턴십의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of Overseas Internship on Employability: The Moderating effect of Global Competencies
- 한국인사조직학회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 한국인사조직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 2018.11
- 1 - 22 (22 pages)
이 연구의 목적은 해외 인턴십 참여자를 대상으로 해외 인턴십의 특성과 글로벌 역량, 고용가능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외 인턴십의 특성인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이 글로벌 역량과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해외 인턴십 특성과 고용가능성 간의 관계에서 글로벌 역량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구체적인 목표로 설정하였다. 2014년과 2015년에 정부의 지원을 통해 해외 인턴십에 참여하고 있는 인턴을 대상으로 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의 수집은 조사대상이 해외에 근무 중이라는 특성 때문에 이메일과 SNS를 통해서 실시되었으며, 총 637부가 배부되어 278부가 회수되었으나 이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252부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활용 되었다. 그리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해외 인턴십의 특성인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은 고용가능성의 하위 변인인 내적유연성과 외적이동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고용가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글로벌 역량의 하위요인인 이문화수용력과 외국어능력은 모두 고용가능성의 하위요인인 내적유연성과 외적이동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역량은 해외 인턴십의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 중 경력개발지원과 고용가능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용가능성은 해외 인턴십의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으로부터 정(+)적인 영향을 받으면서도, 글로벌 역량 함양을 통해서 고용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글로벌 역량을 매개로 높아질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먼저 해외 인턴십이 청년들의 글로벌 역량과 고용가능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 었으므로 해외 인턴십은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 특히 각 대학에서는 재학생들의 취업준비를 위해 글로벌 역량을 함양한다는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글로벌 역량의 향상을 통해 고용가능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둘째, 해외 인턴십은 일터학습의 일환으로 좀 더 구조화되어 운영될 필요가 있다. 인턴십의 현장지향성이 글로벌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은 인턴십의 현장학습이 구조화되지 못한 채 운영되고 있는 것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역량이나 고용가능성은 취업 여부 등과 함께 인턴십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주요한 성과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the traits of overseas internship program-, global competencies, and employability of overseas internship program participant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is collected from internees who have participated or are participating in the overseas internship program operated with government s financial support. This study found firstly,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have positive effect both on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and therefore positively affect to employability. Secondly, cross-cultural adaptability and language skills―lower factor of global competency- has positive effect both on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Third, global competency ha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supportand employability but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eld oritentedness of the overseas internship and employability. Therefore, it is verified that employability can be increased by the mediating effect of global competency while being positively affected by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of overseas internship.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의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