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350.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용차 소재로서 임자도 자생식물(예덕나무, 엄나무, 꾸지뽕나무 잎)의 항산화,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α-glucosidase 및 acetylcholinesterase 저해활성

Antioxidant,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α-Glucosidase,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of Alternative Tea Materials (Mallotus japonicus, Kalopanax septemlobus, Cudrania tricuspodata) Procured from the Imja Islands

DOI : 10.29225/jkts.2019.25.3.51
  • 133

초 록 : 전라남도 임자도에서 자생하는 식물인 예덕나무 잎, 엄나무 잎, 꾸지뽕나무 잎을 대상으로 대용차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유용성분 함량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예덕나무 잎, 엄나무 잎, 꾸지뽕 나무 잎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75.64 ± 3.18 mg TAE/g dry wt., 17.50 ± 0.47 mg TAE/g dry wt., 31.01 ± 1.65 mg TAE/g dry wt. 으로, 특히 예덕나무 잎이 세 시료 중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3종의 대용차 식물(예덕나무 잎, 엄나무 잎, 꾸지뽕 잎) MeOH 추출물의 ABTS + 의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예덕나무 잎, 꾸지뽕 잎, 엄나무 잎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대용차 원료 3종의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시료의 항산화 활성은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한 페놀성 화합물이 크게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MeOH 추출물에 대한 ACE 저해활성을 비교한 결과, 꾸지뽕 잎의 활성이 85.80 ± 1.4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엄나무 잎(43.87 ± 1.76%), 예덕나무 잎(19.91 ± 1.91%) 순으로 나타났다. 항당뇨와 관련된 α -amylase 저해 활성을 분석한 결과, 예덕나무 잎(68.68 ± 1.02%로)과 꾸지뽕 잎(66.78 ± 1.75%)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엄나무 잎(3.37 ± 0.491%)의 경우 낮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대용차 MeOH 추출물에서 AChE 저해 활성을 살펴본 결과, 꾸지뽕 잎이 80.71 ± 1.32%로 가장 활성이 높았으며, 예덕나무 잎 71.33 ± 1.05%, 엄나무 잎 40.28 ± 1.26%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건강에 도움을 주는 예덕나무 잎, 엄나무 잎, 꾸지뽕나무 잎등의 산채류를 이용하여 대용차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antioxidativ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activity, α -glucosidase inhibition, and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y activity of three alternative tea leaf materials (Mallotus japonicus, Kalopanax septemlobus and Cudrania tricuspodata) procured from the Imja islands of Jeollanamdo, Korea, in the month of May.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present in Mallotus japonicus leaves, which also had the highest radical-scavenging activity compared to other samples as determined by the in vitro assay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 -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cation radicals. Total phenolic compounds correlated highly with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samples. Highest ACE inhibition was achieved by exposure to Cudrania tricuspodata (85.80 ± 1.46%), whereas Mallotus japonicus leaves (68.68 ± 1.02%) and Cudrania tricuspodata leaves (66.78 ± 1.75%) showed highest α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as compared to other samples. The methanol extracts of Cudrania tricuspodata leaves (80.71 ± 1.32%) and Mallotus japonicus leaves (71.33 ± 1.05%) showed over 70%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the AChE assay. These results indicate the efficacy of applying Mallotus japonicus, Kalopanax septemlobus and Cudrania tricuspodata extracts in various functional tests, and their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alternative tea leaf products.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