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남자 중학생의 체질량지수별 발육과 건강관련 변인 분석연구

Analysis of Growth and Health-Related Variables by Body Mass Index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 33
149337.jpg

이 연구는 남자 중학생의 체질량지수별 발육과 건강관련 변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G 지역 남자 중학생 61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별 여윔집단, 보통집단, 비만집단으로 구분하여 골연령, 골성숙도와 예측 성인신장 및 건강체력과 건강체력평가점수를 SPSS PC/Program(Version 24.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남자 중학생의 체질량지수별 골연령, 골성숙도 분석 결과, 골연령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통집단, 비만집단이 여윔집단보다 골연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성숙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남자 중학생의 체질량지수별 예측 성인신장의 분석 결과, 예측 성인신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남자 중학생의 체질량지수별 건강체력 분석 결과, 심폐지구력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통집단이 비만집단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성과 근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남자 중학생의 체질량지수별 건강체력평가점수 분석 결과, 건강체력평가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통집단이 비만집단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sis of growth and health-related variables by body mass index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61 male middle school students of G area and divided them into 3 groups(skinny, normal and obesity group) by body mass index and measured bone age, bone maturity, predicted adult height and physical fitness, physical fitness evaluation score. The result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one age by body mass index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between groups and normal and obesity group were higher than skinny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s in the bone maturity. Second, the predicted adult height by body mass index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did not showed significant effects between skinny, normal and obesity group. Third, the cardiopulmonary endurance by body mass index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between groups and normal group was better than obesity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s in the flexibility and muscle strength. Fourth, the physical fitness evaluation score by body mass index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between groups and normal group was better than obesity group.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