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414.jpg
KCI등재 학술저널

우리나라 도시재생 논의에 대한 비판적 분석 2013~2018년 도시재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Critical Analysis on the Urban Regeneration Research of Korea

  • 406

본 논문은 도시재생 논의에서 바람직한 도시재생 방안으로 제시된 목표와 전략이 무엇인지 고찰하고 기존 연구 동향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향후 도시재생 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도시재생 관련 논문 435편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각 연구 논문에서 강조하고 있는 전략을 4가지 범주(경제 활성화 전략, 주민 참여·시민사회 역량 강화와 거버넌스, 통합적 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관련 법 제도 개선, 사회정책으로서 도시재생)로 구분 하였으며, 이러한 전략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도시재생의 목표를 경제적, 사회 적, 통합적 목표로 구분하였다. 대부분의 연구가 도시재생 과정에서 젠트리피케이 션이 발생하지 않는 탈신자유주의적이고 민주적인 공간 실현을 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복지를 강조하는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구체 적으로 제시하는 전략이나 목표가 젠트리피케이션을 방지하기 위한 도시재생과 연결되지 않았음을 지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대안적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다양한 전략을 통해 종국적으로 지역주민들의 생활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거주 안정성을 확보해 주는 것과 연결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With the analysis of urban regeneration research in Korea, this paper considers the aims and strategies suggested for alternative urban regeneration in the debate.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discovering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future. Reviewing the research of 435 papers, the strategies for urban regener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physical and economic revitalization, residents’ and citizens’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urban regeneration as a social policy, and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for better urban regeneration policy. Furthermore, the aims of the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are classified into three: economic, social and holistic perspectives. Despite there being an understanding of urban regeneration as practice for post-neoliberal space, little research tries to connect the aims and strategies specifically suggested in the papers and the ways to prevent from gentrification. In order the lower class not to be swept from the area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s, such as affordable housing and safe public spaces, and the welfare of resident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1. 서론

2. 도시재생을 보는 시각: 도시재생과 젠트리피케이션

3. 기존 논의에서 제안하는 도시재생 전략 분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