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414.jpg
KCI등재 학술저널

녹색성장-갯벌어업-해삼양식 어셈블리지로 읽는 발전주의와 자연의 신자유주의화

Green Growth-Tidal flat fisheries-Sea cucumber aquaculture: Rethinking developmentalism and neoliberalization of nature through assemblage theory

  • 66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적 자연의 생산 사례로 녹색성장의 기치하에 집중적으로 육성된 해삼양식산업의 발전과정을 분석한다. 국가 중심으로 기울어져 있는 기존의 자연의 신자유주의화 논의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본 연구는 다수의 행위자들이 참여하며 혼종성 및 역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지 개념을 도입한다. 본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면적으로 포스트 발전국가의 전략적 산물로 나타나는 정책 및 제도는 실상 다양한 스케일의 국가 및 비국가 행위자들의 개발의지가 교차하고 수렴된 결과물이다. 둘째, 녹색성장-갯벌어업-해삼양식의 일시적인 어셈블리지는 자연에 대한 발전주의적 의미를 증폭시키고 자연의 신자유 주의화를 촉진시켰다. 셋째, 해삼은 인간 행위자들의 개발의지에 반하여 성장의 원칙에 입각한 단선적인 발전에 저항하는 행위성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발전주 의는 발전국가의 유산인 동시에 대다수 사회구성원이 공유하는 욕망으로서 발전 국가 이후에도 오랜 기간 사회를 구성하는 원동력으로 작동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발전주의의 분석에 있어 어셈블리지적 관점의 유용성을 확인한다.

This paper conceptualizes the development of sea cucumber aquaculture industry in South Korea promoted under the national ‘Green Growth’ plan as a neoliberalizing process of nature. Using assemblage theory attending to heterogeneity, dynamism, and participation of multiple human and more-than-human actors, this paper extends the horizon of the hitherto state-centered South Korean scholarship on neoliberalization of nature. This paper argues that government policies and institutions, which appear to be a product of a post-developmental state strategy, in effect emerge from the crossings and convergences of state and non-state actors’ will to improve.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a temporary yet coherent assemblage of Green Growth-tidal flat fisheries-sea cucumber aquaculture amplified developmentalism imposed on nature and accelerated its neoliberal production. In the process, sea cucumber as a more-than-human actor performed an agency confronting the collective human actors’ will to improve, resisting against a linear path of development based on the principles of progress. This paper rethinks the notion of developmentalism as consisting of individual desires, while also being a legacy of the developmental state. In the post-developmental era, developmentalism operates as a long-run force that continues to reconfigure the society. Assemblage theory is useful in thinking beyond state-centered perspectives and understanding the deeper and lasting implications of developmentalism.

1. 서론

2. 어셈블리지적 관점: 발전국가를 넘어 발전주의로

3. 녹색성장: 발전국가-신자유주의 어셈블리지의 형성

4. 갯벌어업의 등장: 갯벌 및 어촌공동체의 신자유주의화

5. 갯벌어업-해삼양식 어셈블리지: 해삼의 신자유주의적 생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