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국어 교육에서 단어 간 공백이 한국인 학습자의 낭독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Inter-word Space on Chinese Reading of Korean Learners

  • 39
149421.jpg

한국어 문장에 존재하는 공백은 독자가 문장 혹은 단락을 이해하는 아주 중요한 시각적 단서로, 묵독뿐만 아니라 낭독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반대로 중국어 문장에는 단어 경계를 나타내는 공백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단어 간 공백이 낭독 유창성과 정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은 중국어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고찰하였다. 실험은 2(제시 방식: 공백 무삽입, 공백 삽입) X 3(중국어 수준: 초급·중급 학습자, 모국어 화자) 이원혼합설계로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에게 두 가지 제시 방식의 중국어 문장을 낭독하도록 요청하고, Cool Edit Pro 프로그램을 사용해 그 소리를 녹음하였다. 실험 결과, (1) 단어 간 공백은 참가자들의 낭독 유창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단어 간 공백은 한국인 학습자들의 단어 경계 인식을 제고시켰다. (3) 글자와 단어 식별이 익숙하지 않은 초급 학습자일수록 낭독 정확성에 대한 공백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The inter-word space is an important visual cue in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which could improve both the efficiency of silent reading and the processing of oral reading. However, there’s no inter-word space in Chinese text as the boundary of words. This study discussed whether the inter-word space would affect the oral fluency and accuracy, and whether the effect would change with the Chinese proficiency. The experiment was a 2 (text type: no inter-word space text, text with inter-word spaces) × 2 (Chinese proficiency: beginner level of Korean learners, intermediate level of Korean learners, Chinese native speakers) mixed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read the Chinese sentences with or without inter-word spaces loudly, and the sound were recorded with Cool Edit Pro software. The results showed: (1) the inter-word space didn’t affect the oral fluency of Chinese; (2) the inter-word space could improve the learners’ awareness of word boundary; (3) for the Korean Chinese learners, the less familiar with the Chinese word recognition, the less salience of the inter-word space effect on oral accuracy.

초록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결과

5. 논의

6. 나오는 말: 중국어 독해교육 방안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

부록

논문초록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