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uicidal Behavior of Workers

DOI : 10.14251/crisisonomy.2019.15.7.87
  • 91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며, C지역 근로자 200인이상의 5개 근로사업장에서 2016년 4월부터 7월 사이에 자발적 설문에 참여한 6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척도는 직무스트레스 단축형 측정도구, 우울척도, 알코올사용장애 선별검사, 자살행동척도 등이었다. 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 중상위군 및 상위군이 하위군보다, 상위군이 중하위군보다 자살행동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F=7.50, p<.001), 우울군이 정상군보다 자살행동점수가 높았 고(t=249.55, p<.001), 알코올사용장애군이 정상음주군과 문제음주군에 비해 자살행동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9.94, p<.001). 자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감이 심할수록(?醒?=0.41, p<.001), 여성직장인인 경우(?醒?=0.13, p=.002), 직무스트레스가 심할수록 (?醒?=0.08, p=.042) 자살행동에 대한 예측력이 높았으며, 자살행동에 대한 예측변수들의 총 설명력은 30%였다(F=18.86, p<.001). 따라서, 직장인들의 자살행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우울 및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을 선별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시행하기를 제안한다.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behavior of workers, self-report questionnaires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Korea, Suicide Behaviors Questionnaire&#8211;Revised) were completed by 667 workers at 5 workplaces in C province in Korea from April to July 2016.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 and mid-high job stress groups had higher suicidal behavior ratings than the low group, and the high group had higher ratings than the mid-low group (F=7.50, p <.001). The depression group showed higher suicidal behavior than the normal group (t=249.55, p<.001), and the rating was higher for the alcohol use disorder group than the normal- and problem-drinking groups (F=9.94, p<.001).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30% of the variation in workers’ suicidal behaviors (F=18.86, p <.001), with significant variables such as depression (β=0.41, p <.001), female (β=0.13, p =.002), and job stress (β=0.08, p =.042).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