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Multicultural Acceptance of Natives and Self-concept and School Achievement of Migrant Adolescents in Korea -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 53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KELS 2013의 1-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선주민의 다문화수용성이 이주배경 청소년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와 다문화수용성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선주민의 다문화수용성(다양성)이 이주배경 청소년의 가족 자아개념에는 정(+), 신체 자아개념에는 부(-)의 영향을 미쳐, 주류사회가 문화다양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환경일수록, 이주배경 청소년의 가족 자아개념은 증가하고, 신체 자아개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주민의 다문화수용성(관계성)이 이주배경 청소년의 학업성취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가정 청소년들이 다문화 친구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환경일수록 이주배경 청소년의 학업성취도도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상호작용의 일부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 선주민의 다문화수용성이 이주배경 청소년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사회적 지지가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와 발견은 선주민의 다문화수용성 제고 및 이주배경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기반 확대를 위한 지속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Korean natives’ multicultural acceptance on self-concept and school achievement among migrant background youth, using the five-year longitudinal data (2013-2017) from KELS 2013. It also examines the interaction effect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social support. The results show that: (i)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diversity) of native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family self-concept but negative impact on the physical self-concept of migrant adolescents; (ii)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relation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grant adolescents; (iii) social support plays significant roles in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natives’ multicultural acceptance on migrant adolescents’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of continued policy efforts to improve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nd to expand the social support system for migrant adolescents in Korea.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의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