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 Cost of Safety Management Waste or Strategic Investment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5 No.8
- : KCI등재
- 2019.08
- 43 - 59 (17 pages)
본 연구는 기업이 채택⋅시행하는 안전관리 유형에 따라 기업의 조직성과, 즉 안전 및 재무성과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기업이 안전관리를 직접 전담하지 않고 겸직⋅대행시키는 간접적인 관리를 하는 경우 이러한 안전관리 유형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안전관리비용은 어떠한 조절 역할을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해, 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한 2015년 산업안전보건 동향조사 자료와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DART) 및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SMINFO)자료 를 확보하여 341개의 사업체를 대상으로 자료를 획득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이 안전관리를 전담하는 방식이 안전겸직이나 안전대행 방식보다 안전성과와 재무성과에 더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기업의 안전관리비용 투자가 클수록, 안전겸직 및 안전대행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관계가 전반적으로 완화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가 제기하는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토론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ich is measured in terms of employees’ safety behavior and firm s average net profit. In addition, it examines the moderating role of safety management costs invested by the firm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afety management styl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41 firms via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ompany Survey (2015), the Electronic Disclosure System (DART)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nd Small Business Status Information System (SMINF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safety and financial performance were better when the firms take control of safety management than when safety is managed by a concurrently employed person or outsourcing. We also found that the costs of safety management played a buffering role on the negative effects of such indirect safety management on organization performanc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then discuss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토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