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ldehydes emitted by the printing industry and to evaluate their impact on adjacent residential areas. Methods: Aldehydes and THC were measured from the front of the control device in the printing and coating process. Aldehydes and ketones were measured by workplace area, residential area, and background area to evaluate their impact. Results: The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0.047 ppm) and acetaldehyde (<0.068 ppm) in the printing and coating process were relatively low, and the methyl ethyl ketone used as the primary solvent was the main carbonyl compound in the printing process. The daily mean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workplace area, residential area, or background area.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methyl ethyl ketone was high in the order of workplace area, residential area, and background area. Conclusions: The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in the adjacent residential areas are considered to be more influenced by secondary sources of photochemical reactions than by primary sources. Methyl ethyl ketone is considered to be highly influenced by the primary source, which is printing facilities.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결 과
IV. 고 찰
V. 결 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8)
- 정오 “가습기 살균제 노출 및 건강피해 규모 평가 연구”
- 정오 “시간활동양상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한 한국 주택 환기량 추정”
- [편집인 글] 화학사고·테러 건강영향조사 선진화를 위한 노력
- 경기북부 주요 하천 내 동물플랑크톤 군집특성 조사 연구
- Real-time PCR을 이용한 환경 중 물 시료의 레지오넬라 분석법 연구
- 인쇄시설의 알데하이드류 배출특성 및 영향 평가
- 국내 화학물질 배출량 특성에 관한 연구: 악취물질 중심으로
- 우리나라 성인의 체내 중금속 3종에 대한 노출수준과 주요 인구사회학적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제1~3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2009-2017) 결과 -
- TOPKATⓇ, DerekⓇ, OECD toolbox를 활용한 화학물질 독성 예측 연구
- 기상변수들의 확률밀도함수(PDF)에 따른 CalTOX모델을 이용한 BTEX 인체노출량 및 인체위해성 평가 연구
- 우리나라 성인의 체내 PAHs 및 벤젠 대사체 노출수준 및 영향요인 분석 -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2009-2017) -
- 분사형 소비자 제품 중 나노 물질의 흡입 노출 평가 방법
- 금속매염제인 초산구리의 세포독성에 대한 자귀나무잎 추출물의 보호 효과
- QGIS를 이용한 토양오염지도 작성
- 어린이용품의 환경유해인자 표시 현황과 독성자료에 대한 연구
- 2019년 충남지역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다병원체에 의한 집단식중독의 역학적 분석
- 정오 “Monte-Carlo 모의실험을 통한 부분 인구집단별 이산화질소와 오존의 노출 및 위해성 평가”
- 정오 “Monte-Carlo 모의실험을 통한 부분 인구집단별 벤젠 및 PM10의 노출 및 위해성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