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청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은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으며, 심혈관질환 예방효과를 가진다. 최근 심장주위지방과 대사성질환과의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는 반면, 한국인에서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과 심장주위지방과의 연구는 거의 없다. 방법: 본 연구는 일개 병원의 건강 검진 자료 중, 심혈관 MDCT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를 시행한 361명의 대상자에서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자료가 있는 대상자의 자료를 선택하여 심장주위지방을 사분위로 나눈 군에 따라서 비교 분석하였다. 심장주위지방을 사분위로 나눈 후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에 중점을 둔여러 대사성 지표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나이, 성별, 흡연 여부를 보정한 후 가장 낮은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사분위에 대한 비차비도 계산하였다. 결과: 혈청 평균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는 50.7 mg/dL, 평균 심장주위지방의 부피는 123.8 cm 3 이었다. 혈청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는 심장주위지방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133, P=0.012), 복부내장 지방량과도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0.185, P<0.001)를 보였다. 나이, 성별, 흡연 여부를 보정한 후 가장 낮은 고밀 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사분위수를 가질 비차비는 제2 사분 위에서 2.86 (95% CI, 1.33-6.13; P for trend=0.007), 제3 분위수에서 2.87 (95% CI, 1.30 -6.31; P for trend= 0 .0 0 9), 제4 분위수에서 6.15 (95% CI, 2.65-14.3; P for trend< 0.001)를 보였다.방은 낮은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농도와 연관이 있었다.
Backgrou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is a component of metabolic syndrome (MS) and has a cardio-protective role. Recent studies reported the association of pericardial adipose tissue (PAT) and MS. However, there is little study to demonstr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DLC and PAT in Koreans. Methods: The data of three hundred sixty one subjects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HDLC according to the PAT quartiles, which was measured by the coronary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cross-sectionally. After the PAT was divided into quartiles, various metabolic parameters were compared focused on HDLC. Furthermore, the odds ratio of having lowest HDLC quartile (lower 25%) was calculated after adjustment with age, sex, and smoking. Results: Mean HDLC and PAT was 50.7 mg/dL and 123.8 cm 3 , respectively. HDLC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AT (r=-0.133, P=0.012) and visceral fat area (r=-0.185, P<0.001). The odds ratio of having lowest HDLC quartile was 2.86 (95% CI; 1.33-6.13, P for trend=0.007), 2.87 (95% CI; 1.30-6.31, P for trend=0.009), and 6.15 (95% CI; 2.65-14.3, P for trend<0.001)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quartile of PAT after adjusting age, sex, and smoking. Conclusion: HDLC showed negative association with PAT, therefore, the increase of PAT may impact on low HDLC.
서론
방법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