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식수술 후 3% 디쿠아포솔나트륨 사용이 눈물막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3% Diquafosol Tetrasodium on Tear Film Stability after Laser-assisted in situ Keratomileusis
- 김창환(Chang Hwan Kim) 성산(Seong San) 김종구(Jong Ku Kim) 최재호(Jae Ho Choi) 최철명(Chul Myong Choe) 최태훈(Tae Hoon Choi) 김세경(Sekyung Kim)
- 대한안과학회
- 대한안과학회지
- 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0,number10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10
- 915 - 921 (7 pages)
목적: 라식수술 후 3% 디쿠아포솔나트륨 사용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라식수술을 받은 건강한 성인 75명 150안을 대상으로 무작위 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군(37명 74안)에는 3% 디쿠아포솔나트륨을 수술 후 1일째부터 하루 6번씩 점안하도록 하였고, 대조군(38명 76안)에는 히아루론산을 수술 후 1일째부터 하루 6번씩 점안하도록 하였다. 수술 전, 수술 후 1주일, 1개월, 3개월에 쉬르머검사, 눈물막파괴시간 측정, 각결막 표면 형광염색을 시행하였고, 건조증의 주관적 증상에 대한 설문조사(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를 시행하였다. 또한 눈물 오스몰 농도는 수술전, 수술 후 1개월, 3개월에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경과 관찰기간 동안 쉬르머검사 결과 및 눈물 삼투압 농도, 결막염색 점수에서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눈물막파괴시간은 술 후 1주, 3개월에 유의하게 실험군에서 길게 나타났다. 각막염색 점수는 술 후 1주, 1개월, 3개월에 유의하게 실험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OSDI 점수는 수술 후 1주에 유의하게 실험군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수술 후 1개월 및 3개월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점차 수술 전의 결과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3% 디쿠아포솔나트륨은 수술 후 초기의 주관적 건성안 증상 호전 및 눈물막 안정성에 도움을 주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3% diquafosol tetrasodium (DQ) after laser-assisted in-situ keratomileusis (LASIK). Methods: This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included 150 eyes in 75 patients who were scheduled for LASIK. The patients in the 3% diquafosol tetrasodium (DQ) group (37 patients, 74 eyes) were instructed to apply one drop of DQ, six times daily post-op, while the patients in the 0.3% sodium hyaluronate (HA) group (38 patients, 76 eyes) were instructed to apply one drop of HA, six times daily post-op. A Schirmer test, tear film break-up time (BUT), corneal and conjunctival fluorescein staining score (FLSS), and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were evaluated pre-op and at 1, 4, and 12 weeks post-op while the tear osmolarity was evaluated pre-op and at 4 and 12 weeks post-op.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Schirmer test results or tear osmolarity and conjunctival FLSS. The BU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Q group at 1 week and 12 weeks post-op. The corneal FL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Q group at 1 week, 4 weeks and 12 weeks post-op. The OSDI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Q group at 1 week post-op. Conclusions: Use of 3% diquafosol tetrasodium after surgery improved ocular dryness and increased the tear film stability.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