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498.jpg
KCI등재 학술저널

韓國古代氣候硏究의 動向과 課題

Tasks and trends of climate studies of ancient Korean history

  • 200

한국고대사에서 기후는 진지한 연구대상으로 고려되지 않았다. 이는 문헌 자료의 결여, 자연과학 자료에의 진입장벽, 생태환경에 관심이 결여된 학계 풍토와 기후결정론에 대한 경계 등 연구자의 학문적태도에서 기인했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한국고대사에서 기후 연구가 어떤 방법과 관점에서 다루어졌는지 검토했다. 그로부터 기존연구가 얻은 성과와 한계를 제시했다. 기존 연구는 과거 기후의 재구성과, 기후가 인간사회에 준 영향으로 양분된다. 전자는『삼국사기』의 계량적 분석, 중국과 일본의 기후재구성 참고, 자연과학 자료의 확보에 의존했다. 논의를 구체화하려면 한반도 기반의 자연과학 자료 확보가 절실하다. 후자는 장기간에 걸쳐 조성된 기후환경과, 단발적으로 발생한 이상기후가 인간사회에 미친 영향으로 나뉜다. 대체로 기후의 영향을 강조하는 기후결정론적 해석에 얽혀있다. 기후변화에 대한 고대사회의 대응으로서‘사회적 안전망’의 내용과 작동 여부가 검토되어야 한다. 인간사회와 기후환경의 상호관계 이해를 위해, 차후 자연과학 분야와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학제간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안 한국사 분야에서 기후환경에 전문 지식을 가진 연구자는 거의 없었다. 새로운 연구방법론과 관점이 교집하는 학제간 연구를 발판 삼아 한국고대사 이해의 진전에 힘써야 한다.

In ancient Korean history, climate issue was not considered a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This tendency originates from the shortage of historical documents, barriers to entry against scientific studies and the overall academic attitudes of researchers based on a lack of interest in ecological environments and precautions about climatic determinism. For the advancement of future studies, this paper reviewed methodologies and viewpoints of former climate studies. Subsequently, this paper outlines the outcomes and limitations of the aforementioned former studies. Former studies were dichotomized into two groups, reconstruction of past climates and effect analysis of climates on human society. The former depended on quantitative resolution of SamgukSagi, cross reference of the reconstructions of China’s and Japan’s climates, and the procurement of scientific data.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discussion, obtaining of scientific data based on Korea peninsula is essential. The latter was divided into two subdivisions, climatic environment by long-term chance and single event’s effect on human society. In general, those studies posed analysis on climatic determinism which emphasizes the impact of climate. Going forward,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ith a consideration of the content and operation of a social safety net as an adaptation of ancient society against climate change. To understan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climate and human society through a historical perspective, interdisciplinary studies should be executed in conjunction with the natural science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us far, only a handful of researchers in Korea have specialized knowledge of the climatic environment and natural sciences. An effort must be made to have an interdisciplinarity that includes new research methodologies and viewpoints as a foundation to advance the understanding of ancient Korean history.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 고대 기후의 재구성

1. 문헌기록의 계량적 이해

2. 자연과학 기반 데이터의 활용

3. 중국·일본 기후재구성의 참고

Ⅲ. 인간사회에 대한 기후 영향의 해석

1. 장주기 기후변화

2. 단발적 이상기후

Ⅳ.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