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세대에 따라 기대하는 리더상과 리더십 유형에 대한 수용도가 다르고(김나정, 2014) 리더가 갖추어야 할 자질 및 역할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존재한다(Sessa, Kabacoff, Deal & Brown, 2007; Yu & Miller, 2005)는 점과 밀레니얼 세대가 조직 내부로 빠르게 유입되고 있다(김영곤, 2016) 는 측면에서 밀레니얼 세대에게 적합한 리더십은 무엇이고 리더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알아 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최근 사회과학에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참여적 실행연구방법인 포토 보이스(photo-voice)를 활용했다(김도헌, 2016; Harper, 2002; Kaplan & Howes, 2004). 본 연구의 결과, 밀레니얼 세대는 이제 조직 내에서 ‘나를 따르라(follow me)’고 외치는 리더가 아니라 ‘당신을 지원하겠다(support you)’고 외치는 리더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밀레니얼 세대가 인식하고 있는 리더의 모습은 업무적으로는 현재에 집중하면서 안전을 추구하고 구성원들에게는 지시하는 것에 익숙한 모습이다. 이와 관련 그들은 조직 내 리더가 방향 제시자(navigator), 긍정적 분위기 조성 촉진자(facilitator), 불합리한 관행 제거자(eliminator), 피드백 제공자(provider), 구성원 성장 지원자(sponsor)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포토 보이 스라는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주제와 관련 언어만으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과 생각을 표현했다는 점과 함께 현재 밀레니얼 세대가 인식하는 리더의 역할을 제시하고 조직 내 리더들에게 밀레니얼 세대를 대상으로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현실적인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illenials’perception of leadership and role of leader. To do th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hoto-voice is u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Millenials need the leader who spoke that not follow me but support you. Next, Millenials perception of leader’s roles are as follow. First role is navigator. Millenials look forward to seeing something to clear goal and direction in their work. Second role is facilitator. Especially they want to make a positive atmosphere in their organization by leader. Third role is eliminator. They need to remove incorrect methods and laws in the work process. Forth role is provider. They want to get specific feedback from their leader in order to work well. Finally, sponsor’s role is showed. Millenials are long for develop their competence and support to work. So leader have to support all arou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carried out leader’s role in the organization from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alled the photo-voice which is a participatory practice research method, presented specifically and realistically in the language of the Millenials.
Ⅰ. 서 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