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565.jpg
KCI등재 학술저널

해양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KCG Officer Job Satisfaction on Customer Orientation

  • 70

정부 3.0시대는 정부와 국민의 소통과 화합은 물론 수요자 중심의고객지향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함에 따라 민원인들이 요구하는 민원행정서비스의 질적 수준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내부고객의 만족이 없다면 외부고객에 대한 진정한 고객지향성은 기대하기 곤란할 것이다. 이는 공공기관이나 행정기관도 마찬가지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 즉, 민원인에 대한 만족할 만한고객지향성 제공을 위해서는 먼저 내부고객이라 할 수 있는 조직구성원인 해양경찰공무원들의 직무만족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며 이는 별개로 분리해서 생각해서는 안된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라보면 공무원들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만을 대상으로 한다거나 또는공무원의 고객지향성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는 형태는 다소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생각되며 행정의 효율적 운영을 고려한다면 두 부분에 대한 연구의 궤를 같이 해야만 한다고 판단된다. 현재까지 일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의 형태로 연구되었으나 민간기업의 연구사례에 비하면극히 적었다. 더욱이 해양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접적인 선행연구도 거의 찾아볼 수가 없었다. 따라서 해양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이를 통하여 해양경찰공무원의 고객지향성 제고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In the era of government 3.0 recently new paradigm of government operation has been emphasizing on customer orientation and accordingly has been forwarding the policy. In conclusion people have been highly expecting that the administrative institutions would provide satisfactory customer orientation. For reflection of the state on affairs, there have been a lot of discussion and study about improvement of officials’ customer orientation, but there’s few study about the increase of officials’job satisfaction which enables to improve the customer orientation. Causality model led to inference focusing on the descriptive and explanatory approach as a research design and method for substantial verification. A basic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correlation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carried out using statistics programme of SPSS 21.0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of the effect on KCG officer’ satisfaction at salary, promotion, boss, colleague and job itself on the civil administration service appears that among the factors satisfaction and itself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ivil administration service. According to this study, between the KCG officer’job satisfaction factors and the most directly related with civil administration service.

Ⅰ. 서 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조사결과의 분석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