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여대생이 지각한 심리적 진로장벽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sychological career barrier and major satisfact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control effect of self-resilience

  • 319

본 연구는 서울소재 여대생이 지각하는 심리적 진로장벽이 전공만족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검토하고, 그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여대생 157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여대생이 지각하는 심리적 진로장벽은 전공만족과 부(-)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은 두 변수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자아탄력성이 높은 여대생의 경우에는 심리적 진로장벽을 높게 인식할 지라도 자아탄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여대생에 비해 전공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은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자아탄력성이 높은 여대생은 진로 및 취업과 관련한 여러 가지 어려움을 융통성 있게 극복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여대생들이 자각하는 진로장벽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지도 및 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들의 자아탄력성을 높일 수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sychological career barrier and major satisfact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control effect of self-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157 female university students responds were included in the hierarchical analysis. As the resul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reer barrier and major satisfact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lso the control effect of self-resilience was confirmed. For those who is higher in self-resilience tend to satisfied more about their major although she perceives high career barrier. The result implies the needs for customized career counseling and support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developing and offering programs to improve their self-resilienc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