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사업에 따른 주변지역 지가변화에 관한 연구 - 창원시 도시재생사업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Land Price on the Area around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 With a focus on Changwon City Urban Regeneration Project Site -
- 김재환(Kim, Jae Hwan) 조용경(Cho, Yong Gyung)
- 대한부동산학회
- 대한부동산학회지
- 제5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09
- 47 - 60 (14 pages)
본 연구는 택지개발사업과 지가와의 관계, 지가와의 영향력에 대한 분석틀에 맞추어 이를 도시재생사업에 적용하여 지가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도시재생사업의 초기 선도지역인 창원시 창동예술촌지역을 중심으로 사업전과 사업후의 지가변동을 확인한 결과, 기존 택지개발사업에서 지가상승이 사업단계별로 부분적으로 이루어졌던 점에 반해 현재의 도 시재생사업은 사업전부터 사업종료까지 지가변동폭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상지역 1km 이내에서는 오동동이 4.4%의 순지가변동률이 높았고, 5km 이내에서는 웅남동이 21%로 더욱 큰 폭으로 상승했다는 점에서 차이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 사업으로부터 초래할 수 있는 지가상승의 부분적인 문제를 사업대상지 선정 전단계부터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development and land price by applying it to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ccording to the existing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price and the influence of land price.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Changdong Art Village, Changwon City, which is the first leading area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analysis method used to calculate the change in land price and net land price before project designation and at the end of project. Based on the analysis sites, the results of the pre-and post-project change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re presented in the scope of 1km impact area and 5km impact area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ate of change of the cumulative land price and the change of the short term within 1km of the impacted area, Ohdongdong has a high rate of variation of. In the same way, within 5km of the impact area, the variance of Sangnamdong was the highest with 21.0%, followed by Sangdongdong (5.4%) and Sukjeongdong (3.8%).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이론적 고찰
1. 지대와 지가
2. 선행연구 검토
Ⅲ. 사례지의 분석방법
1. 개요
2. 분석방법
Ⅳ. 지가변화 분석
1. 지가변동률
2. 순지가변동률
Ⅴ. 결론
1. 연구의 요약
2. 연구의 한계와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