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랑스어 교육에서 상호문화 개념의 이해
Mise au point sur la notion d interculturel en didactique du FLE
- 이경수(Kyeong-Soo LEE)
- 프랑스학회
- 프랑스학연구
- 제90권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11
- 185 - 206 (22 pages)
외국어를 배우는 데 있어 문화능력이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 하면서 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것이 사실이다. 프랑스어 교육학 분야도 예외는 아닌데 최근 들어 문화교육의 방법론으로 각광 받고 있는 것이 ‘상호문화 교육’이다. 하지만 높아진 관심에 비해 관련 연구들의 상당수는 상호문화 교육이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또 그것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측면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등 관련 쟁점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뒷받침 되지 않고 있다. 급기야는 세계화, 혹은 국제사회 이해교육 차원의 문화교육을 상호문화 교육과 동일시해버리기도 한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프랑스어 교육학 분야에서 ‘상호문화적’interculturel이라는 용어가 적절한 맥락에서 사용되기를 제안하는 연구이다.
Dans la mesure où la compétence culturelle est considérée comme un facteur important pour promouvoir la compétence communicative des apprenants de langues étrangères, l intérêt des didacticiens du FLE(français langue étrangère) se concentre sur l enseignement de la culture. En effet, la plupart des recherches aujourd hui se font sous le prisme de l approche dite interculturelle , même si dans les faits, elles restent toujours sur une éducation monoculturelle . Face à cette situation, nous avons d abord examiné quelques notions liées à l éducation interculturelle, telles que l éducation multiculturelle, l éducation universelle, etc., pour jalonner la notion d interculturel. Et nous sommes arrivé à proposer quelques éléments indispensables pour une véritable éducation interculturelle afin que le terme interculturel ne soit plus galvaudé.
1. 들어가는 말
2. 상호문화 교육
3. 맺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