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647.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들의 학업부진원인과 학업부진지원 프로그램의 성과 연구

A Study on the Causes of Education Probation and the Effects of a Supporting Program for Low Achieving Students at University

DOI : 10.18230/tjye.2019.27.4.51
  • 443

이 연구는 대학에서 학업부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의 원인 및 요구와 관련된 학업부진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학업성취도와 학업동기가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업부진대학생들의 원인은 무엇인지, 학업부진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은 무엇인지, 학업부진원인과 프로그램 내용은 어느 정도 관련되는지, 프로그램 이후 학업동기와 학업성취도는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특히 학업부진원인과 프로그램 내용이 관련되었을 경우 학업동기와 학업성취도는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부진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145명 학생들의 프로그램 활동 보고서를 분석하였으며, 학업동기측정을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업부진대학생들의 원인은 자기관리, 학교・학과・전공・친구에의 불만족, 학업역량부족, 편입・교차지원・반수・군입대 등, 무관심과 무기력, 건강, 아르바이트 및 가정환경의 7개 범주로 나누어졌으며, 프로그램 내용은 자기관리, 기초학습, 전공과 교양학습의 3개로 구분되었다. 둘째, 학업부진지원 프로그램 이후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으며 자기조절효능감과 행동 요인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학업부진원인과 프로그램 내용이 관련 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다. 끝으로 학업부진지원 프로그램 이후 학업동기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학업부진학생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보다 체계적으로 확대 운영될 필요가 있다는 것과, 성별이나 학년, 전공 등에 따라 학업부진학생 지원체계가 달라져야 한다는 것, 특히 학업부진의 문제가 나타나기 이전 예방차원에서의 지원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것, 그리고 학업부진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을 학업부진원인과 관련시켜 운영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업부진학생들에게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업지원 프로그램의 기획 및 운영방향 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es of education probation and the effects of a supporting program for low achieving students at university. For this purpose, 145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major research methods were the content analysis of students’ activity reports and questionnaire on learning motivation. The analysis methods were the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auses were in 7 areas – self-management, dissatisfaction of college, major, and friends, low academic competency, transfer, entrance between affiliation or military enlistment, health, and arbeit or family background. Program contents were selfmanagement, basic learning skills, and major study. Second, a supporting program for low achievement college student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Especially, when the cause of education probation and mentoring content was connected, it had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had on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fter a supporting program.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supporting system for low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is to be enlarged and reinforced. Second, a supporting system can be differentiated by gender, grade, major, and the prevention stage is to be concluded in this system. Finally, a supporting program and causes of education probation need to be connected.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V. 요약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