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discussion for developing good delinquency intervention program
효과적인 청소년 비행 대응 프로그램을 위한 중요한 요인에 대한 논의
- Min-Woo, Yun(김은영) Eun-Young, Kim(윤민우)
- 한국범죄심리학회
- 한국범죄심리연구
- 제15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09
- 73 - 88 (16 pages)
범죄와 청소년 비행의 문제는 새로운 사회이슈가 아니다.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의 문제는 오랜 기간 동안 사회 내에서 논의되어왔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돈과 노력이 들어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국내에서도 오랜 기간 동안 청소년 비행 예방프로그램이 도입되어왔지만, 이러한 프로그램의 효과가 명확하지 않고 오히려 최근 들어서 청소년의 범죄가 성인의 범죄만큼이나 위험하고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다는 것에 대한 사회적인 경각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비행관련 중재/개입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이해된다. 국내에서 활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청소년 중재/개입프로그램은 미국과 영국 등의 서구국가의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국내에 적용하는 방식 이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과 영국 등에서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인정받고 있는 프로그램들에 대한 소개 및 성공적 프로그램을 위해 필요한 중요한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한 국내의 청소년 프로그램 정책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시사점, 함의가 논의부분에서 논의되었다.
Crime and delinquent behavior among adolescents is not a new phenomenon. It has been a long time public concerns. Yet, recently, we encounter growing problems regarding the adolescents delinquent acts in our society. That is, it became more serious, cruel, and hazardous. Although there have been a lot of problems implemented to curb youth delinquency, this problems became more serious and cruel. Perhaps, one of reasons explaining the failure of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reventive programs for adolescents delinquency is lacking of understanding of important factors for good interventions and programs effective in reducing adolescents delinquency in our society. In conclusion and discussion, this study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on this topic.
1. Introduction
2. Factors important for the best programs and interventions for delinquent youths
3. Theories and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the delinquents.
4. Intervention practicalities.
5. Conclusion and discu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