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안 외직근후전술 후 재발한 간헐외사시에서 보정한 내직근절제술의 수술 결과
Surgical Outcomes of Modified Medial Rectus Resections in Recurrent Intermittent Exotropia
- 김광현(Kwang Hyun Kim) 이주연(Joo Yeon Lee)
- 대한안과학회
- 대한안과학회지
- 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0,number11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11
- 1098 - 1104 (7 pages)
목적: 일차수술로 양안 외직근후전술을 받은 후 재발한 간헐외사시에서, 표준 수술량보다 감량 수정한 내직근절제술의 수술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양안 외직근후전술 후 재발한 간헐외사시에 대해 2003-2017년에 내직근절제술을 시행받고 1년 이상 추적 관찰한 5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0PD 외사시를 기준으로 양안 내직근 3 mm 절제를 하였고 기타 사시각에 따라 가감한 수술량을 정하여 시행하였다. 수술 결과는 술 후 1개월, 6개월, 1년, 2년째의 안위를 성공(10PD 외사시-5PD 내사시), 과교정(5PD 초과 내사시), 부족교정(10PD 초과 외사시)으로 분류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6개월과 2년의 수술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성공률은 1개월에 78.2%, 6개월에 87.5%였다. 술 후 1개월에는 과교정 21.8%, 부족교정은 0%였으나, 술 후 6개월에는 부족교정 12.5%, 과교정 0%로 술 후 1개월의 과교정이 모두 소실되었다. 술 후 1년, 2년의 성공률은 각각 85.7%, 66.6%였다. 술 후 6개월 및 2년째, 다른 임상요인들은 성공과 부족교정 간에 차이가 없었고, 술 후 1개월의 안위가 성공군에서 유의하게 더 큰 내편위를 보였다(p<0.05). 결론: 재발외사시에서 감량 보정한 내직근절제술의 성공률은 술 후 6개월에 87.5%, 1년에 85.7%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술 후 1개월까지 과교정이 많이 지속되었고, 이때의 안위가 이후 수술 결과에 대한 지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o evaluate the outcomes of modified medial rectus (MR) resection using a lowered amount of MR resection for recurrent exotropia after bilateral lateral rectus (LR) recessions. Methods: Fifty-six patients, who underwent MR resection from 2003 to 2017 for recurrent exotropia after bilateral LR recessions, were included. MR resection was performed using modified MR resection with a smaller amount of resection than the standard of 4 mm resection at 20 prism diopters (PD) of exotropia. Postoperative surgical results at 1 month, 6 months, 1 year and 2 years were classified as a success (5 PD esotropia [ET]-10 PD exotropia [XT]), overcorrection (>5 PD ET), and undercorrection (>10 PD XT). The clinical factors affecting surgical results at postoperative 6 month and 2 years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 success rate was 78.2% at postoperative 1 month and 87.5% at postoperative 6 months. The overcorrection rate was 21.8% and the undercorrection rate was 0% at postoperative 1 month. At postoperative 6 months, the overcorrection rate decreased to 0% and the undercorrection rate was 12.5%. The success rate was 85.7% at postoperative 1 year and 66.6% at postoperative 2 years. There was no clinical factor affecting the surgical outcomes except the ocular alignment at postoperative 1 month. The deviation at postoperative 1 month was more esotropic in patients with success at postoperative 6 months and 2 years than that in patients with undercorrection (p < 0.05). Conclusions: The modified MR resection showed favorable results of 87.5% at postoperative 6 months and 85.7% at 1 year. The angle of deviation at postoperative 1 month was an indicator of subsequent surgical outcomes.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