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모의 양육유형이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휴대폰 이용 동기의 매개변인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Parenting Styles o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parameters of Smartphone motives-
-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 사회복지상담연구
- 제3권 제1호
- 2019.11
- 89 - 111 (23 pages)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 유형에 따라 휴대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과 휴대폰 사용 용도에 따라 휴대폰 의존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 관계를 밝혀 청소년의 휴대폰 사용에 대한 지도 및 상담에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해 휴대폰 사용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첫 째, 양육 태도로 방임은 가족 관계 용과 친구 관계용, 오락용으로 사용하게 하는데 부적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무관심은 가족 관계와 또래 관계를 위해 사용되는 휴대폰 사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 째, 엄격한 양육 태도는 청소년의 휴대폰 사용 동기 중 휴대폰 의존성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는 가족 관계용으로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강압적인 양육 태도는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성을 낮추는데 있어서 그 효과가 표면적인 가능성이 있다점 이다. 셋 째, 휴대폰 사용 동기 중 가족 관계용 사용 동기는 휴대폰 의존성을 낮추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휴대폰 사용의 긍정적 용도의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알게 된 청소 년의 휴대폰 사용과 적절한 지도 방법으로 가족 관계용으로 휴대폰 사용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useful data for guidance and counseling about adolescents use of mobile phones by reveal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ffecting mobile phone dependence according to the parenting type and mobile phone dependence according to the use of mobile ph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use of mobile phones. First, neglect had negative effects on family relations, friend relations, and entertainment. Parental indifference negatively affects the use of mobile phones used for family and peer relationships. Seco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trict parenting attitude does not affect the use of family relationships that are effective in reducing the dependency on mobile phones among the mobile phone use motivations of adolescents. In other words, the coercive parenting attitude has a surface possibility that the effect on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e is lowered. Third, among the motivations for using mobile phones, the motivation for using family relations has been shown to reduce the dependency on mobile phones. Consider the positive use of cell phone use. Adolescents found in this study suggested using a mobile phone and using a mobile phone for family relation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