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의 기초 연산 유창성 특성 연구
Basic Fact Fl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19권 22호
-
2019.111315 - 1334 (20 pages)
-
DOI : 10.22251/jlcci.2019.19.22.1315
- 287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년과 집단에 따른 기초 연산 유창성 발달 특성과 기초 연산 유창성이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한 도구개발 및 자료 수집은 2019년 5월 한 달간 진행되었다. 기초 연산 유창성 측정을 위해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별로 두 세트(한 자리 수 연산, 한 자리 수와 두 자리 수 연산)씩 총 8세트의 검사를 제작하여 실시하였고, 수학 성취도 평가는 초등 수준의 연산 능력을 평가하는 초등 수학 성취도 검사와 중등 수준의 연산 능력을 평가하는 유 리수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하여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 및 집단에 따른 기초 연산 유창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한 자리 수와 두 자리 수의 곱셈 연산 을 제외한 모든 기초 연산 유형에서 학년별 주 효과가 나타났고, 모든 연산 유형에서 집단별 주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수학 성취도에 대한 집단별 기초 연산 유창성의 예측력을 살펴보면, 학습부진의 경우 수학 성취도에 대한 기초 연산 유창성의 설명 력이 일반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대한 설명력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를 기술하였다.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basic fact fluency on math achievement. For measuring basic fact fluency, eight sets of tests were administered: two sets for each operation of arithmetic(i.e., addition,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For measuring mathematical achievement, two sets of mathematical achievement tests were administered: (a) general math achievement test for elementary school, and (b) mathematics operation test for secondary school. Multivariate ANOVA(M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result analysis. Major result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main effect by grade in all subtests of basic fact fluency testexcept multiplication. Also, there was the main effect by group in all subtests of basic fact fluency test. Second, the basic fact fluency accounted for more variance in mathematic achievement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than those without learning difficulties.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regard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