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685.jpg
KCI등재 학술저널

<곤돌라의 노래>와 <선두소패>의 번안 양상

A Study on the Adaptation Aspect of <Kondolla &#365;i norae> and <S&#335;ndu sop’ae>

DOI : 10.36775/kjpm.2019.24.65
  • 104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작곡가인 나카야마 신페이가 작곡한 < 곤돌라의 노래 >와 < 선두소패 > 라고 하는 두 노래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두 노래가 조선으로 넘어와 번안되는 양상을 통해 조선에서의 일본 창가의 번안 양상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 곤돌라의 노래 >와 < 선두소패 >는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끈 후 동시적으로 조선으로 넘어와 번안되어 조선 대중들에게서도 큰 사랑을 받았다. 두 노래의 조선 번안곡은 원곡 가사를 거의 그대로 번안하는 소극적 변개와 원곡 가사를 변형하여 조선의 풍토, 정서에 맞게 번안한 적극적 변개의 두 가지 양상을 보인다. 이를 통해 당시 문화ㆍ예술적 기반이 제대로 잡히지 않았던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그 나름대로 새로이 창작하고 이를 통해 조선의 예술을 만들고자 했던 문화 생산ㆍ수용자들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In this paper, two songs, <Kondolla &#365;i norae/Gondola no uta>(The Gondola Song) and <S&#335;ndu sop’ae/Sendo kouta>(Song of a Ferryman), composed by the Japanese composer Shinpei Nakayama, will be exam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sh&#333;ka Japanese children songs were adapted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al period during by looking at these two adapted songs. <Kondolla &#365;i norae> and <S&#335;ndu sop’ae> were greatly popularized in Japan. Then, these songs were translated in Korea, and greatly enjoyed by the public. Korean versions show two aspects. The first is passive adaptation, for which translators made an almost direct translation of the original lyrics. The second is active adaptation, for which translators modified the original lyrics to suit the cultural climate and emotion of Korea. These two aspects provide a glimpse into the efforts of Korea’s cultural producers and audience who wanted to make new attempts to create Korean popular art under the limited conditions where the cultural and artistic foundation of Korean popular art was difficult to be established properly.

1. 들어가며

2. <곤돌라의 노래>의 번안 양상

3. <선두소패>의 번안 양상

4. 나가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