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음운 지식 기반 한글 쓰기 지도 방법

A Study on the Teaching of Korean Writing based on Phonological Knowledge

  • 317
149678.jpg

【초록】이 연구의 목적은 한글 교육의 변화를 위한 기초 논의 과정으로서 음운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한글 쓰기 지도 방법을 개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글 쓰기에서 음운 지식의 개념과 교육적 가치를 고찰한 후, 음운 지식을 계열화하고 한글 쓰기 지도 절차의 변화를 통해, 한글 쓰기 지도의 개선 방법을 모색하였다. 그동안 한글 쓰기는 교사가 발음하는 음성 언어를 듣고 학습자가 인식한 음운과 자소를 대응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단편적인 한글 지식의 암기와 재인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이 결과로 한글 쓰기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공교육 정상 화를 통한 선행학습 근절의 일환으로 1학년 1학기의 받아쓰기를 제한하기에 이르렀다. 한글 쓰기는 기초 문식성 신장을 위해 대단히 중요한 교육 활동이 다. 이에 따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바와 같이 상위 인지 능력을 신장하고 탐구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음운 지식과 학습 전략을 계열 화할 뿐만 아니라 ‘듣기-음운 인식-자소대응-점검-쓰기’의 절차를 ‘읽기-점 검-쓰기-발음-자소대응’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한글 쓰기 지도 방법을 개선할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rove the Korean writing teaching method. Traditionally Korean writing classes have used the dictation of enunciating each word by a teacher. Due to this, Korean writing classes have become repetitive and ineffective, so the teaching method of writing Korean should be changed. First, the sequence of phonological knowledge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procedure for writing Korean should also be changed. In a phonological knowledge, Declarative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should be reorganized by the Sequence. Also, the order of Korean writing should be changed from ‘listening-phonemic recognition-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adjustment-writing’ to Reading-adjustment-writing-Pronunciation-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This writing activity is more effective for learners, and the meta cognitive skill and inquiry skills will be improved.

1. 머리말

2. 음운 지식의 개념과 가치

3. 한글 쓰기 지도의 새로운 방향

4. 음운 지식의 계열화와 한글 쓰기 지도

5. 마무리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