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 2000년대 초부터 결혼이민자가 증가하면서 다문화가족이라고 하는 새로운 가족형태가 형성되었고 다문화가족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다문화가족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되고 있는데 그 중결혼이주여성과 관련하여 제기되고 있는 가정폭력의 문제는 인권이나 복지차원에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 정부에서는 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 문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정책들을 제시하고는 있지만 주로 결혼이주여성을 한국 사회에 잘 적응시키고 많은 외국인들을 한국 사회에 유입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어서 그 실효성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다문화가족의 정착을 위하여 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 현황과 실태를 살펴보았으며 그 대안으로 국제결혼 대상자에 대한 상담 및 교육 실시, 국제결혼 중개업체의 관리감독 강화, 결혼이민자들의 자조모임 활성화, 부부교육 및 부모교육 지원,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상담 강화,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피해자에 대한 지원의 의무화, 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피해자에 대한 주거지원 사업, 가정폭력 근절을 위한 사회분위기 조성 등을 제시하였다.
In Korea,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00s, the number of marriage immigrants has increased, and a new family type called a multicultural family has been formed and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gradually increasing.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ncreases, various social problems are occurring. Domestic violence, which is raised in relation to married immigrant women, needs to be dealt with in terms of human rights and welfare. Although the government presents various policies related to the domestic violence problem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government mainly focuses on adapting married immigrant women to Korean society and introducing many foreigners into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actual condition of domestic violence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establish a healthy multicultural family and to provide consultation and education on international marriage victims, strengthen management supervis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s, Support for parents education,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mandatory support for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by localgovernm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housing support projects for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by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creation of a social atmospher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 현황과 사례
Ⅳ. 다문화가족의 가족폭력 대응방안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