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746.jpg
KCI등재 학술저널

리더의 영향력 전술이 구성원의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ders Influence Tactics on Organizational Members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ediating Effects of Social Justice and Moderating Effects of Structural Justice

DOI : 10.36459/jom.2019.43.4.93
  • 634

본 연구는 리더의 강성적 영향력 전술과 연성적 영향력 전술이 구성원의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공정성 이론을 통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둘 사이의 관계에서 사회적 공정성의 매개효과와 구조적 공정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실증을 하였다.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들과 그들의 직속상사로 구성된 195쌍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강성적 영향력 전술은 이직의도와 정적 관계를 나타낸 반면, 연성적 영향력 전술은 이직의도와 부적 관계, 조직시민행동과는 정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리더의 연성적 영향력 전술이 구성원의 이직의도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회적 공정성이 둘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강성적 영향력 전술의 경우 구성원의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공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조적 공정성의 조절작용에 있어서 리더의 연성적 영향력 전술이 사회적 공정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구조적 공정성이 조절효과가 있음을 실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의 이직의도를 낮추고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해, 리더의 연성적 영향력 전술이 강성적 영향력 전술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또한 리더의 영향력 전술의 효과성은 구성원이 그들의 리더와의 상호작용과정에서 인식하는 사회적 공정성을 통해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메커니즘에 대한 구체적인 규명이 이루어졌다. 나아가 조직 차원의 구조적 공정성 인식은 영향력 전술이 사회적 공정성에 미치는 과정에 주요한 상황요인이 됨을 실증함으로써 조직 관리에 의미있는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영향력 전술과 공정성 이론의 통합적 접근을 제시한 이론적 기여점과 더불어 실무적으로 조직 관리에 유효한 리더의 구체적인 행동 지침과 공정한 조직 관리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In today s fast-paced and severe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 the role of leaders in retaining quality employees and facilitat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CB) among them becomes more and more crucial.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leader influence tactics (i.e., hard and soft influence tactics) on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by incorporating justice theory.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just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influence tactics and employees work outcome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uctural justice in this research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195 dyads of employees and their direct leaders in 8 companies including financial, manufacturing,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usiness in South Korea. Results show that leaders hard influence tactics were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whereas leaders soft influence tactics was negatively related to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and positively related to their OCB. Moreover, employees perceived social justi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soft influence tactics and employees work outcomes and also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hard influence tactic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We also found that employees perceived structural justice moder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soft influence tactics and their perceived social justice in a way that strengthens this relationship when their perceived structural justice was low rather than high. This finding further suggested that the levels of structural justice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s of leader soft influence tactics on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and OCB.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