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737.jpg
KCI등재 학술저널

체코 사회를 비추는 거울, 얀 스베락 영화의 특징 연구

A Study on the Features of Jan Svěrák Films: A Mirror Reflecting Czech Society

DOI : 10.19170/eebs.2019.43.4.59
  • 62

1989년 발생한 벨벳혁명을 계기로 체제 전환에 성공한 체코는 비슷한 시기 체제 전환을 겪은 동유럽 국가들에 비해 자국 영화들이 강세를 보였다. 이러한 흐름 내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인물은 얀 스베락이다. 그의 작품들은 체코 국·내외에서 작품성과 상업성을 고루 인정받았으며, 그로 인해 얀스베락은 체코 영화계를 대표하는 인물로 자리 잡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얀 스베락이 체제 전환 이후 체코 영화사에서 갖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가 1990년대 및 2000년대에 발표한 장편 극영화 6편을 대상 작품으로 삼아 해당 작품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경향성을 도출해낸 후 이러한 경향이 드러 나게 된 경위를 역사적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얀 스베락의 영화들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경향성을 갖는다. 첫번째, 그의 작품들에는 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산주의 체코의 현실, 벨벳 혁명 당시 체코 사회의 모습, 공산 정권 몰락 이후 체코 사회의 문제점 등 다양한 모습이 투영되며 체코 현실의 반영과 역사에 대한 비판 의식이 드러 나고 있다. 두 번째,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이 낙관적인 현실 인식으로 이어지면서 체코 사회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그리고 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세 번째, 체코의 여성 숭배 전통을 바탕으로한 일관적인 여성 숭배, 여성에 대한 성적대상화 등의 여성혐오가 나타난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그리고 이러한 세 가지 경향은 얀 스베락의 작품 활동 초기인 1990년대부터 그가 활발하게 활동하였던 2000년대의 작품들에서 뚜렷이 드러나고 있다.

In the Czech Republic, which communist regime collapsed in the wake of the Velvet Revolution, domestic films shown a steady rising tendency compared to Eastern European countries that experienced a similar transformation. Within this flow, a film director of particular interest is Jan Svěrák. His films were highly acclaimed for both its cinematic quality and its popularity. And that made him a representative figure in the Czech film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Jan Svěrák has in the Czech contemporary film history and tries to derive the propensity of his works. And for that, this study will target six feature film released by Jan Svěrák in the 1990s and 2000s. As a result, Jan Svěrák’s films have three tendencies: First, his works reveal a sense of reflection of social reality and criticism of history. Second, critical views of society and history lead to optimistic perceptions of reality, suggesting a better direction for Czech society to move forward. Third, based on Czech tradition of worshiping women, misogyny such as female worship and sexual objectification of women is revealed. And these three tendencies are evident in works from the 1990s, early in Jan Svěrák’s career, to the 2000s when he was active.

1. 들어가는 말

2. 현실의 반영과 역사에 대한 비판 의식

3. 문제 상황에 대한 낙관적인 태도

4. 여성에 대한 숭배와 성적 대상화

5. 맺는말

로딩중